경묵(京墨) / 먹

동의보감에서 "경묵(京墨) / 먹"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경묵(京墨) / 먹
라틴명 |
Atramentum |
약재의 효능 |
사심혈(瀉心血)
(심혈(心血)을 내리는 것임.)
|
|
청폐(淸肺)
(열기에 의해 손상된 폐기를 맑게 식히는 효능임)
|
|
평간(平肝)
(간기(肝氣)가 몰리거나 치밀어 오르거나 간양(肝陽)이 왕성(旺盛)할 때 간기를 화평(和平)하게 해주는 방법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청심경혈열(淸心經血熱)
(심경(心經)에 열사가 침입하여 혈열이 생긴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심(心)
|
성미 |
신(辛)
, 온(溫)
, 평(平)
|
주의사항 |
오래된 것이 약효가 좋음. |
약재사용처방 |
묵부환(墨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
, 무사(無嗣)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차비거홍방(搽鼻去紅方) /
비사(鼻齄)
|
|
태평환(太平丸) /
허로(虛勞)
, 폐위(肺痿)
|
|
투빙단(透氷丹) /
중풍(中風)
, 중풍열증(中風熱證)
, 탄탄(癱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