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타승(密陀僧) / 납
라틴명 | Lithargyrum |
약재의 효능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방부(防腐) (썩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 |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 |
진경(鎭驚) (발작 등의 증상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
안심(安心) (심기(心氣)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 |
보장(補臟) (장부(臟腑)를 보(補)하는 것임.)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소적(消積)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염수발(染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진겁(鎭怯) (두려워 하는 것을 편안하게 진정시키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성미 | 소독(小毒) , 평(平) , 함신(鹹辛)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오래 복용하면 안됨. |
약재사용처방 | 밀타승(密陀僧) / 면간(面䵟) |
밀타승산(密陀僧散) / 대경불어(大驚不語) | |
백부자산(白附子散)[2] / 면상열창(面上熱瘡) | |
부연산(赴宴散)[2] / 구창(口瘡) | |
삼황산(三黃散)[1] / 백전풍(白癜風) | |
색루공방(塞漏孔方)[2] / 치루(痔瘻) | |
생기산(生肌散)[2] / 옹저(癰疽) | |
생기산(生肌散)[4] / 일체창(一切瘡)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5] / 초생편신어포(初生遍身魚泡) | |
용골고(龍骨膏) / 외렴창(外廉瘡) | |
절감산(截疳散) / 누창(瘻瘡) , 감창(疳瘡) | |
진사고(辰砂膏)[1] / 치루(痔瘻) | |
취이산(吹耳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 |
치적백한반방(治赤白汗斑方) / 한진(汗疹) | |
홍옥산(紅玉散)[1] / 면상잡병(面上雜病) | |
황백산(黃柏散)[1] / 견순(繭脣) |
연단(鉛丹) / 납
라틴명 | Minium |
약재의 효능 | 진심(鎭心) (심(心)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정경(定驚) (놀란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추담(墜痰) (담을 강하게 깨뜨려 제거하는 효능임) | |
염수(染鬚)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심(心) |
성미 | 미한(微寒) , 신함(辛鹹) , 유독(有毒) |
약재사용처방 | 황단(黃丹)[1] / 전광(癲狂) , 경간(驚癎) |
황단(黃丹)[3] / 반위(反胃) |
연회(鉛灰) / 납
라틴명 | Plumbum Praeparatum |
약재의 효능 | 소적산취(消積散聚)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임) |
살백충(殺百蟲) (모든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성미 | 감(甘) , 한(寒) |
약재사용처방 | 목향삼릉산(木香三稜散) / 복장충(腹藏蟲) |
묘응환(妙應丸)[1] / 충적(蟲積) | |
추충취적산(追蟲取積散) / 충적(蟲積) | |
추충환(追蟲丸) / 충적(蟲積) | |
치촌백충방(治寸白蟲方)[1] / 촌백충병(寸白蟲病) | |
칠전영응단(七轉靈應丹) / 충적(蟲積) |
황단(黃丹) / 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