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가을 |
키 | 1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관상용으로 재배(습하고 그늘진 곳) | 성미 | 차며, 쓰고 약간 맵다. |
분류 | 덩굴성 상록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꺾꽂이ㆍ분주ㆍ씨 | 1회사용량 | 6~8g |
약효 | 뿌리ㆍ온포기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마주나며 잎자루가 짧다. 잎은 반들반들한 짙은 녹색이고 부드러우며 길이 3~9cm의 달걀꼴, 긴 심장형 또는 거꿀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다.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에 얼룩무늬가 없지만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폭으로 황색ㆍ황백색ㆍ유백색의 무늬가 줄지어 달리는 것도 있다.
꽃
개화기는 3~7월이지만 때로는 가을에 다시 피기도 한다. 곧게 선 줄기의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한 송이씩 달리는데 각 마디에서 어긋나와 남보라색으로 핀다. 꽃의 모양은 바람개비 또는 선풍기의 날개처럼 생겼다. 꽃잎은 5장이며 꽃의 중심에 별 모양의 흰 무늬가 있다.
열매
8~9월에 열매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줄기는 가늘고 늘어지는 덩굴성이다. 꽃이 안 피는 줄기는 40~100cm로 길게 늘어지며 꽃이 피는 줄기는 30~40cm 정도로 곧게 서서 자란다. 땅 위로 기는 줄기의 마디마다 뿌리를 내리는데 마디의 길이는 15~20cm이다. 우리나라에는 원래 빈카속 식물이 자라지 않았으나 근래에 원예용으로 들여온 귀화 식물이다. 종류도 다양하여 좁은잎빈카ㆍ무늬빈카ㆍ금맥무늬빈카ㆍ일일초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잎의 무늬와 꽃의 종류도 다양하다. 원래 이름은 페리윙클(Periwinkle)이지만 외래종임에도 우리나라에서 영어 이름으로 불리우지 않는 까닭은 원예상들이 들여올 때 부르기 쉬운 학명인 빈카(Vinca)로 통칭하여 불렀기 때문이라고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악성 종양을 풀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