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Borax |
약재의 효능 |
지수(止嗽)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파적(破積)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
|
성주(醒酒)
(술을 깨는 효능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방부(防腐)
(썩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거구취(去口臭)
(구취(口臭)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유오금(柔五金)
|
|
제구니(除垢膩)
(기름진 때를 없애는 효능임)
|
|
치인후제병(治咽喉諸病)
|
작용부위 |
위(胃)
, 폐(肺)
|
성미 |
고신(苦辛)
, 난(暖)
|
주의사항 |
붕사를 정제해서 얻음. |
약재사용처방 |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실음(失音)
, 해수(咳嗽)
|
|
강설산(絳雪散) /
후풍(喉風)
|
|
금쇄시(金鎖匙) /
전후풍(纏喉風)
, 급후폐(急喉閉)
|
|
등심산(燈心散)[2] /
소아야제(小兒夜啼)
|
|
명경고(明鏡膏) /
목삽혼화(目澁昏花)
|
|
백룡산(白龍散)[1] /
농이(膿耳)
|
|
벽설(碧雪) /
시종(腮腫)
, 구설생창(口舌生瘡)
|
|
보유화풍단(保幼化風丹) /
급경풍(急驚風)
|
|
붕사(硼砂)[1] /
노육반정(努肉攀睛)
|
|
붕사(硼砂)[2] /
설종(舌腫)
, 설창(舌脹)
|
|
붕사(硼砂)[3] /
후비(喉痺)
|
|
붕사산(硼砂散)[1] /
석림(石淋)
|
|
붕사산(硼砂散)[2] /
현옹(懸癰)
|
|
붕사원(硼砂元) /
구설생창(口舌生瘡)
, 구취(口臭)
|
|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 /
정창(釘瘡)
, 발배(發背)
, 유옹(乳癰)
|
|
빙벽환(氷蘗丸)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삼광고(三光膏) /
범토상안(犯土傷眼)
|
|
소단환(燒丹丸) /
태경(胎驚)
, 전간(癲癎)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13] /
초생불유(初生不乳)
|
|
신선탈명단(神仙奪命丹) /
구토(嘔吐)
|
|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골경(骨鯁)
, 전후풍(纏喉風)
|
|
옥약시(玉鑰匙) /
급후비(急喉痺)
|
|
우황산(牛黃散) /
구창(口瘡)
, 중악(重顎)
, 중설(重舌)
|
|
유인고(蕤仁膏) /
예장(翳障)
|
|
일념금산(一捻金散) /
아구창(鵝口瘡)
|
|
점예고(點瞖膏) /
예막(翳膜)
|
|
접골자금단(接骨紫金丹) /
골절(骨折)
|
|
주사고(朱砂膏) /
경계(驚悸)
|
|
진사고(辰砂膏)[2] /
태경(胎驚)
|
|
청대산(靑黛散)[1] /
중설(重舌)
|
|
춘설고(春雪膏)[2] /
예장(翳障)
, 난현풍(爛弦風)
|
|
취이산(吹耳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
|
치하감창일방(治下疳瘡一方)[1] /
하감창(下疳瘡)
|
|
칠보산(七寶散)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후폐(喉閉)
|
|
탈명산(奪命散)[1] /
급후비(急喉痺)
, 전후풍(纏喉風)
|
|
통애산(通隘散) /
실음(失音)
, 후비(喉痺)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