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Arsenolitum Sublimatum |
약재의 효능 | 식창(蝕瘡) (부인(婦人)의 음부(陰部)에 벌레로 인해 창(瘡)이 생긴 병증임) |
거부(去腐) (썩은 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 |
절학(截瘧)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 |
벽조슬(辟蚤蝨) (이, 벼룩 같이 피부에 붙어사는 벌레를 없애는 효능임) | |
살충거담(殺蟲祛痰) (기생충을 없애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임) | |
보혈제(補血劑) | |
신경강장약(神經强壯藥) | |
농약살충제(農藥殺蟲劑) | |
작용부위 | 위(胃) , 장(腸) |
성미 | 대독(大毒) , 대열(大熱) , 신산(辛酸) |
주의사항 | 임산부는 쓰면 안됨. |
약재사용처방 | 삼백환(三白丸) / 효천(哮喘) |
자금단(紫金丹)[2] / 효천(哮喘) |

라틴명 | Arsenolitum Sublimatum |
약재의 효능 | 식창(蝕瘡) (부인(婦人)의 음부(陰部)에 벌레로 인해 창(瘡)이 생긴 병증임) |
거부(去腐) (썩은 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 |
절학(截瘧)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 |
벽조슬(辟蚤蝨) (이, 벼룩 같이 피부에 붙어사는 벌레를 없애는 효능임) | |
살충거담(殺蟲祛痰) (기생충을 없애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임) | |
보혈제(補血劑) | |
신경강장약(神經强壯藥) | |
농약살충제(農藥殺蟲劑) | |
작용부위 | 위(胃) , 장(腸) |
성미 | 대독(大毒) , 대열(大熱) , 신산(辛酸) |
약재사용처방 | 고류방(枯瘤方) / 영류(瘿瘤) |
부자환(附子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하초토식(下焦吐食) | |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 / 정창(釘瘡) , 발배(發背) , 유옹(乳癰) | |
사농환(射膿丸) / 옹저(癰疽) | |
살충환(殺蟲丸) / 아주공(牙蛀孔) | |
유향환(乳香丸) / 주마아감(走馬牙疳) | |
잠견산(蠶繭散) / 나력(瘰癧) | |
중품정자(中品錠子) / 번화창(飜花瘡) , 영류(瘿瘤) | |
촌금정자(寸金錠子) / 치루(痔瘻) | |
추독병(追毒餠) / 침후악창(鍼後惡瘡) | |
취구루중후골방(取久漏中朽骨方) / 구저(久疽) , 치루(痔瘻) | |
취하정자(翠霞錠子) / 누창(瘻瘡) | |
호분산(胡粉散) / 개선(疥癬) | |
회창섬수정자(廻瘡蟾酥錠子) / 정창(釘瘡) |

라틴명 | Arsenolitum |
약재의 효능 | 식창(蝕瘡) (부인(婦人)의 음부(陰部)에 벌레로 인해 창(瘡)이 생긴 병증임) |
거부(去腐) (썩은 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 |
절학(截瘧)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 |
해열독(解熱毒) (열독(熱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익신기(益腎氣) (신기(腎氣)를 보익하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벽조슬(辟蚤蝨) (이, 벼룩 같이 피부에 붙어사는 벌레를 없애는 효능임) | |
살충거담(殺蟲祛痰) (기생충을 없애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위(胃) , 장(腸) |
성미 | 신산(辛酸) , 열(熱) , 유독(有毒) |
주의사항 | 비위허자는 함부로 쓰지 말것. |
약재사용처방 | 금보고(金寶膏)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단학여성환(斷瘧如聖丸) / 학질(瘧疾) | |
두령환(兜鈴丸) / 효천(哮喘) | |
벽사단(辟邪丹)[1] / 귀학(鬼瘧) , 장학(瘴瘧) | |
상품정자(上品錠子) / 치루(痔瘻) | |
웅주단(雄朱丹) / 귀학(鬼瘧) | |
자금단(紫金丹)[1] / 효천(哮喘) | |
진사고(辰砂膏)[1] / 치루(痔瘻) | |
치아감약(治牙疳藥) / 아감(牙疳) | |
탈명단(奪命丹)[3] / 효천(哮喘) |

라틴명 | Arsenolitum |
약재의 효능 | 식창(蝕瘡) (부인(婦人)의 음부(陰部)에 벌레로 인해 창(瘡)이 생긴 병증임) |
거부(去腐) (썩은 살을 제거하는 효능임) | |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 |
절학(截瘧) (학질(瘧疾) 치료 방법의 하나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타태(墮胎) (임신 3개월 이전, 태아가 형상을 갖추기 전에 유산되는 것.) | |
벽조슬(辟蚤蝨) (이, 벼룩 같이 피부에 붙어사는 벌레를 없애는 효능임) | |
살충거담(殺蟲祛痰) (기생충을 없애고 담(痰)을 없애는 효능임) | |
보혈제(補血劑) | |
신경강장약(神經强壯藥) | |
농약살충제(農藥殺蟲劑) | |
작용부위 | 위(胃) , 장(腸) |
성미 | 대독(大毒) , 대열(大熱) , 신산(辛酸) |
약재사용처방 | 상품정자(上品錠子) / 치루(痔瘻) |
연화예산(連花蘂散) / 치루(痔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