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귀쓴풀

 익생양술에서만 "네귀쓴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개화기)
30c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과 들 성미 차며, 쓰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1~2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쓴풀ㆍ개쓴풀ㆍ자주쓴풀의 온포기
마주나는데 밑 부분의 잎은 긴 달걀꼴 또는 거꾸로 된 넓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밑이 좁아져 잎자루처럼 되지만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중앙부의 잎은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이고 수평으로 퍼지며 잎자루가 없다. 가장자리에 톱니는 없다.
7~8월에 자줏빛 꽃이 줄기 끝에 4수(數)로 모여 달려 피면서 원뿔 모양을 이룬다. 꽃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검은 자줏빛의 점이 있다. 꽃받침잎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꽃부리의 3분의 1쯤 된다.
열매
10~11월에 삭과가 달려 익는데 꽃잎보다 약간 길거나 같다. 씨는 밋밋하고 달걀꼴이며 갈색이다.
특징 및 사용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가지를 많이 친다. 네귀쓴풀은 짙은 갈색을 띠고 있는 잎이 4개라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