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가을 |
키 | 30~7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과 들의 건조한 양지 | 성미 | 차며, 짜고 쓰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실생 | 1회사용량 | 4~6g |
약효 | 뿌리ㆍ꽃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큰절굿대ㆍ절굿대의 뿌리 |
잎
뿌리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는데 밑 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15~50cm 정도 되는 거꾸로 된 댓잎피침 모양의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깃 모양으로 완전히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6~8쌍이며 긴 타원형으로서 양면에 흰 털이 많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위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진다.
꽃
6~8월에 지름 6~9cm의 붉은 자주색 꽃이 줄기 끝에 1개씩 달려 피는데 모두 대롱꽃이다. 꽃차례받침은 길이 3cm, 나비 5cm의 반구형이며 꽃턱잎 조각이 6줄로 배열한다.
열매
7~9월에 길이 5mm, 지름 2mm 정도 되는 타원형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갈색빛이 도는 백색의 갓털이 여러 줄 있어 바람에 날린다.
특징 및 사용
굵고 비대한 뿌리가 땅 속 깊이 들어간다. 꽃줄기 같은 줄기가 곧게 자라는데 줄이 있고 흰색의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가지는 갈라지지 않는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봄철에 어린잎을 채취하여 나물로 쓰고, 꽃줄기와 잎자루는 껍질을 벗겨 삶아서 간장에 무쳐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운동계를 다스리며, 피부 종기에도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