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초향

 익생양술에서 "배초향"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곽향(藿香)/배초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곽향엽(藿香葉)/배초향 잎"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7~8월
40~10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양지쪽 자갈밭 성미 따뜻하며, 맵고 달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온포기 3~5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며 길이 5~10cm, 나비 3~7cm의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심장형으로서 밑은 둥글거나 심장 밑처럼 생겼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앞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약간의 털과 더불어 흰빛이 도는 것도 있다. 길이 1~4cm의 긴 잎자루가 있다.
7~9월에 자줏빛이 도는 입술 모양의 꽃이 윤산 꽃차례를 이루며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빽빽하게 달려 핀다. 꽃차례는 이삭 모양이며 길이는 5~15cm이다. 꽃받침은 길이 5~6mm이며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좁은 삼각형이다. 꽃부리는 길이 8~10mm로서 윗입술꽃잎은 작고 아랫입술꽃잎은 크며 3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9~10월에 달걀을 닮은 편평한 타원형의 분과가 달려 익는데 3개의 능선이 있다.
특징 및 사용
방아ㆍ방애잎ㆍ중개풀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뭉쳐나는데 네모지고 곧게 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방향성이 있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또한 어린잎은 향미료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곽향(藿香) / 배초향
라틴명 Agastachis Herba
약재의 효능 방향(芳香)
화탁(化濁)  (더러운 것을 삭히는 효능임)
거서해표(祛暑解表)
화습(化濕)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을 말함)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개위지구(開胃止嘔)
성비(醒脾)  (비기(脾氣)가 허한(虛寒)하여 운화기능이 무력해진 증상을 치료하는 효능임)
벽장(辟瘴)  (습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 즉, 장기(瘴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거악(去惡)  (악기(惡氣)을 제거하는 효능임)
쾌기(快氣)
진음식(進飮食)  (소화를 촉진하는 효능임)
청상치중(淸上治中)  (상초(上焦)의 열(熱)을 식혀주고 중초(中焦)를 다스리는 치료 방법임.)
통리기기(通利氣機)  (기기(氣機)를 통리(通利)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미온(微溫) , 신(辛)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줄기, 잎
약재사용처방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  위한(胃寒)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 /  습곽란(濕霍亂)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해학(痎瘧)
가미전씨백출산(加味錢氏白朮散) /  불능식(不能食)소갈(消渴)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  습리(濕痢)
계령감로산(桂苓甘露散) /  복서(伏暑)
곽향안위산(藿香安胃散) /  구토(嘔吐)비위허약(脾胃虛弱)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상한음증(傷寒陰證)두통(頭痛)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  구토(嘔吐)비위허약(脾胃虛弱)
구사탕(驅邪湯)[2] /  자학(子瘧)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穀脹)기창(氣脹)
대정기산(大正氣散) /  창만(脹滿)
대칠기탕(大七氣湯) /  육취(六聚)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오적(五積)심복창만(心腹脹滿)
두구귤홍산(豆蔲橘紅散) /  식상(食傷)
목향균기산(木香均氣散) /  기울(氣鬱)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기통(氣痛)
백출산(白朮散)[4] /  만경풍(慢驚風)
백출후박탕(白朮厚朴湯) /  곽란(霍亂)손설(飱泄)
보중탕(保中湯) /  담음구토(痰飮嘔吐)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2] /  담음구토(痰飮嘔吐)
부자산수유탕(附子山茱萸湯) /  족위(足痿)중만(中滿)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불환금단(不換金丹)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1] /  상한음증(傷寒陰證)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2] /  숙식(宿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비화음(比和飮) /  구토(嘔吐)
사미곽향탕(四味藿香湯) /  구토(嘔吐)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사향환(麝香丸) /  무자(無子)백대(白帶)부인음랭(婦人陰冷)
사황산(瀉黃散) /  비열(脾熱)구취(口臭)구창(口瘡)
삼령연출산(蔘苓蓮朮散) /  허설(虛泄)
삼습탕(渗濕湯)[2] /  한습(寒濕)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탄산(呑酸)허비(虛痞)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소경원(小驚元) /  급경풍(急驚風)
소서십전음(消暑十全飮) /  상서토사(傷暑吐瀉)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소풍산(消風散)[1] /  두풍(頭風)부인혈풍(婦人血風)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수풍환(搜風丸)[2] /  풍비(風秘)열비(熱秘)
신공환(神功丸) /  치아감식(齒牙疳蝕)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열격(噎膈)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온역(瘟疫)
신출산기산(神朮散氣散) /  사시온역(四時瘟疫)
안위산(安胃散) /  불사식(不思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안위탕(安胃湯) /  반위(反胃)
양위단(養胃丹) /  구학(久瘧)
양유방(釀乳方)[1] /  만경풍(慢驚風)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옥용고(玉容膏)[1] /  면생창(面生瘡)
옥용고(玉容膏)[2] /  조선(燥癬)
옥지음자(玉芝飮子) /  구미(口糜)
온해산(溫解散) /  누창(瘻瘡)감루(疳瘻)
용뇌음자(龍腦飮子) /  인후종통(咽喉腫痛)상초열(上焦熱)
육화탕(六和湯)[1] /  중서(中暑)곽란전근(霍亂轉筋)
은백산(銀白散) /  만경풍(慢驚風)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이향황련산(二香黃連散) /  곽란(霍亂)
인삼반하환(人蔘半夏丸) /  구천(久喘)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인삼이격환(人蔘利膈丸) /  천만(喘滿)열격(噎膈)
일자경금산(一字輕金散) /  정두통(正頭痛)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제습탕(除濕湯) /  중습(中濕)
조기산(調氣散) /  기요통(氣腰痛)
조세약(澡洗藥) /  풍조신양(風燥身痒)
조중탕(調中湯)[1] /  음증발반(陰證發斑)
주침전(朱沈煎) /  소아토사(小兒吐瀉)
집향탕(集香湯) /  허종(虛腫)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반위(反胃)
청서육화탕(淸暑六和湯) /  학리(瘧痢)서열증(暑熱證)곽란(霍亂)
청위탕(淸胃湯) /  아상종통(牙床腫痛)치근동요(齒根動搖)
충한산(衝寒散) /  고냉(痼冷)소아설사(小兒泄瀉)
취향음자(聚香飮子) /  기산(氣疝)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치악창세약방(治惡瘡洗藥方)[1] /  악창(惡瘡)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침향마비산(沈香磨脾散) /  한복통(寒腹痛)
태무신출산(太無神朮散) /  장역(瘴疫)사시온역(四時瘟疫)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홍옥산(紅玉散)[1] /  면상잡병(面上雜病)
화위환(和胃丸) /  토사(吐瀉)
화중산(和中散)[1] /  토사(吐瀉)
회생산(回生散)[1] /  습곽란(濕霍亂)
곽향엽(藿香葉) / 배초향 잎
라틴명 Agastachis Folium
약재의 효능 방향(芳香)
화탁(化濁)  (더러운 것을 삭히는 효능임)
거서(祛暑)  (여름철 더위에 상해서 생긴 서병(暑病)을 낫게하는 뜻의 용어임.)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화습(化濕)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을 말함)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성비(醒脾)  (비기(脾氣)가 허한(虛寒)하여 운화기능이 무력해진 증상을 치료하는 효능임)
벽장(辟瘴)  (습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 즉, 장기(瘴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거악(去惡)  (악기(惡氣)을 제거하는 효능임)
쾌기(快氣)
진음식(進飮食)  (소화를 촉진하는 효능임)
청상치중(淸上治中)  (상초(上焦)의 열(熱)을 식혀주고 중초(中焦)를 다스리는 치료 방법임.)
통리기기(通利氣機)  (기기(氣機)를 통리(通利)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미온(微溫) , 신(辛)
약재사용처방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신성산(神聖散) /  뇌풍(腦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