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동의보감에서 "과자(瓜子)/동아 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동과(冬瓜)/동아"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동과등(冬瓜藤)/동아 덩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동과인(冬瓜仁)/동아 씨"로 처방에 사용됨
과자(瓜子) / 동아 씨
라틴명 Benincasae Semen
약재의 효능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소옹(消癰)  (옹저(癰疽)를 삭아 없어지게 하는 효능임)
윤기부(潤肌膚)  (기육(肌肉)과 피부(皮膚)를 적셔주는 효능임)
거흑간(去黑䵟)  (기미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감(甘) , 양(凉)
약재사용처방 거삼시충원(去三尸蟲元) /  삼시충(三尸蟲)
해소주독일방(解燒酒毒一方) /  주상(酒傷)
동과(冬瓜) / 동아
라틴명 Benincasae Fructus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내로(耐老)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통대소장(通大小腸)  (대장과 소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이이변(利二便)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압단석독(壓丹石毒)  (광물약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임)
건비구서(健脾驅暑)  (비(脾)를 튼튼하게 하고 서(暑)를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소장(小腸)
성미 감(甘) , 양(凉)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음허자(陰虛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동과(冬瓜)[2] /  오림(五淋)
동과(冬瓜)[3] /  비만(肥滿)
동과(冬瓜)[5] /  수병수사(水病垂死)
동과(冬瓜)[6] /  상소(上消)하소(下消)중소(中消)
삼소환(三消丸) /  소갈(消渴)
해어독해독일방(解魚毒蟹毒一方)[1] /  어독(魚毒)해독(蟹毒)
동과등(冬瓜藤) / 동아 덩굴
라틴명 Benincasae Caulis
약재의 효능 화혈맥(和血脈)  (혈맥(血脈)의 운행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이관절(利關節)  (관절(關節)을 이롭게 하는 치료방법임.)
통경활락(通經活絡)  (경맥의 흐름을 소통시키고 락맥을 원활히 흐르게 하는 효능임)
해목이독(解木耳毒)
복비석(伏砒石)  (비석(砒石)의 독을 억제하는 효능임)
성미 고(苦) , 한(寒)
주의사항 소회(燒灰)하여 씀.
약재사용처방 동과등(冬瓜藤) /  치루(痔瘻)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3] /  개선(疥癬)
동과인(冬瓜仁) / 동아 씨
라틴명 Benincasae Semen
약재의 효능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소옹(消癰)  (옹저(癰疽)를 삭아 없어지게 하는 효능임)
윤기부(潤肌膚)  (기육(肌肉)과 피부(皮膚)를 적셔주는 효능임)
거흑간(去黑䵟)  (기미를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성미 고(苦) , 평(平)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오래 복용하면 안됨.
약재사용처방 남성음(南星飮)[2] /  만경풍(慢驚風)
동과인(冬瓜仁)[1] /  흑간(黑䵟)
동과인(冬瓜仁)[2] /  만경풍(慢驚風)
삼인탕(三仁湯) /  장옹(腸癰)
위엽탕(葦葉湯) /  폐옹(肺癰)
육향고(六香膏) /  동창(凍瘡)
팔선산(八仙散) /  만경풍(慢驚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