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Trogopteri Excrementum |
약재의 효능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화어(化瘀)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성미 |
감(甘)
, 온(溫)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갈환자(褐丸子) /
감창(疳脹)
|
|
계령산(桂靈散) /
심복통(心腹痛)
|
|
구담환(狗膽丸) /
토혈(吐血)
|
|
극통산(튽痛散) /
냉심통(冷心痛)
|
|
기침산(起枕散) /
아침통(兒枕痛)
|
|
도노산(桃奴散) /
혈고(血蠱)
, 월경불통(月經不通)
|
|
도노환(桃奴丸) /
혈창(血脹)
, 월경불통(月經不通)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비금산(備金散) /
혈붕(血崩)
|
|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
혈창(血脹)
|
|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소체환(消滯丸) /
식상(食傷)
|
|
승금산(勝金散)[1] /
혈심통(血心痛)
|
|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1] /
축혈(畜血)
, 열입혈실(熱入血室)
|
|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2] /
산후오로불하(産後惡露不下)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신령단(神靈丹) /
졸심통(卒心痛)
|
|
실소산(失笑散) /
아침통(兒枕痛)
|
|
심통원(尋痛元) /
제상(諸傷)
|
|
십전단(十全丹) /
무고감(無辜疳)
, 정해감(丁奚疳)
|
|
염통원(拈痛元) /
구종심통(九種心痛)
|
|
영반산(靈礬散) /
회궐심통(蛔厥心痛)
|
|
오령지(五靈脂) /
적백대하(赤白帶下)
, 혈붕(血崩)
|
|
오령지산(五靈脂散) /
견비통(肩臂痛)
|
|
오령환(五靈丸) /
역절풍(歷節風)
|
|
오룡단(烏龍丹) /
중풍(中風)
|
|
온제종자방(溫臍種子方) /
제복냉통(臍腹冷痛)
, 하원허한(下元虛寒)
|
|
유통산(愈痛散) /
졸심통(卒心痛)
|
|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
역절풍(歷節風)
|
|
인삼궁귀탕(人蔘芎歸湯)[2] /
혈창(血脹)
|
|
일립금단(一粒金丹)[2] /
일체풍(一切風)
|
|
입효산(立效散)[9] /
아침통(兒枕痛)
|
|
자금환(紫金丸) /
아침통(兒枕痛)
|
|
제위상단(濟危上丹) /
산후혈붕(産後血崩)
|
|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1] /
중기(中氣)
|
|
지성내복단(至聖來復丹)[2] /
심복냉통(心腹冷痛)
, 고냉(痼冷)
|
|
진통산(趁痛散) /
통풍(痛風)
|
|
착호단(捉虎丹)[1] /
각기(脚氣)
|
|
착호단(捉虎丹)[2] /
한습각기(寒濕脚氣)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
|
철탄원(鐵彈元) /
탄탄(癱瘓)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축어탕(逐瘀湯) /
치(痔)
|
|
통령산(通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
|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
|
향령산(香靈散) /
옹저작통(癰疽作痛)
|
|
향령환(香靈丸) /
산후구토(産後嘔吐)
|
|
화괴환(化塊丸) /
비괴(痞塊)
, 혈괴(血塊)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
|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
|
흑룡단(黑龍丹)[1] /
난산(難産)
, 사태불하(死胎不下)
|
|
흑룡단(黑龍丹)[2] /
난산(難産)
, 태의불하(胎衣不下)
, 사태불하(死胎不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