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랍(黃蠟) / 밀랍
동의보감에서 "황랍(黃蠟) / 밀랍"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황랍(黃蠟) / 동양꿀벌의 밀랍
라틴명 |
Cera Flava |
약재의 효능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수삽(收澁)
(정기(精氣)가 흩어지고, 흐르고 떨어져 나간 것을 수렴(收斂)하는 치료 방법임)
|
|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속절상(續絶傷)
(뼈나 근육이 끊어진 것을 이어주는 효능임)
|
|
양위지리(養胃止痢)
(위기(衛氣)를 증강시켜 이질(痢疾)을 멎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위(胃)
|
성미 |
감담(甘淡)
, 평(平)
|
주의사항 |
황색밀랍 |
약재사용처방 |
가미납반환(加味蠟礬丸) /
감루(疳瘻)
|
|
구보환(狗寶丸)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부골저(附骨疽)
|
|
납반원(蠟礬元)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납반지(蠟礬紙) /
내염창(內炎瘡)
|
|
납반환(蠟礬丸) /
나력(瘰癧)
, 옹저(癰疽)
, 발배(發背)
|
|
납향고(蠟享膏)[1] /
동창(凍瘡)
|
|
납향고(蠟享膏)[2] /
동창(凍瘡)
|
|
만응고(萬應膏)[1] /
옹저(癰疽)
, 열독종(熱毒腫)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묘향환(妙香丸) /
적열(積熱)
, 조열(潮熱)
|
|
백룡고(白龍膏) /
악창(惡瘡)
|
|
보수단(補髓丹)[2] /
허로이수(虛勞羸瘦)
|
|
살충환(殺蟲丸) /
아주공(牙蛀孔)
|
|
신기산(神奇散)[2] /
변옹(便癰)
|
|
신이고(神異膏)[1]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창절(瘡癤)
|
|
신이고(神異膏)[2] /
개선(疥癬)
|
|
신첩고(神捷膏) /
내염창(內炎瘡)
, 외렴창(外廉瘡)
|
|
옥액산(玉液散) /
화천(火喘)
|
|
옥용고(玉容膏)[1] /
면생창(面生瘡)
|
|
옥용고(玉容膏)[2] /
조선(燥癬)
|
|
옥지고(玉脂膏) /
아장선(鵝掌癬)
|
|
웅반환(雄礬丸) /
고독(蠱毒)
, 사교상(蛇咬傷)
|
|
웅황고(雄黃膏)[1] /
누창(瘻瘡)
|
|
이황고(二黃膏) /
악창(惡瘡)
|
|
자금단(紫金丹)[3] /
곡달(穀疸)
|
|
취옥고(翠玉膏) /
염창(臁瘡)
|
|
치과창일방(治瘑瘡一方) /
과창(瘑瘡)
|
|
치자인환(梔子仁丸) /
주사비(酒齄鼻)
|
|
합분환(蛤粉丸) /
간허작목(肝虛雀目)
|
|
행교음가감방(杏膠飮加減方)[12] /
산후해수(産後咳嗽)
|
|
화벽여신산(化癖如神散) /
비괴(痞塊)
, 적취(積聚)
|
|
황납(黃蠟) /
염창(臁瘡)
|
|
황납고(黃蠟膏)[1] /
수족군열(手足皸裂)
|
|
황납고(黃蠟膏)[2] /
내염창(內炎瘡)
, 외렴창(外廉瘡)
|
|
황납고(黃蠟膏)[3] /
제창(諸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