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6~9월(개화기) |
키 | 60c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이나 들의 습한 곳 | 성미 | 따뜻하며, 맵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실생ㆍ분주ㆍ삽주 | 1회사용량 | 6~10g |
약효 | 온포기 (줄기ㆍ잎)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석잠풀의 온포기 |
잎
마주나며 댓잎피침형으로서 밑이 둥글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뭉툭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있으며 잎 뒷면의 주맥에 아래로 향한 가시 같은 털이 약간 있다.
꽃
7월에 연한 홍색으로 피는데 줄기 끝에 윤산 꽃차례로 다닥다닥 달려 약간 이삭을 이룬다. 꽃부리는 통꽃 입술 모양인데 윗입술은 둥글고 아랫입술은 3갈래이며 붉은 반점이 있다. 종 모양인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끝이 날카로우며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8~9월에 달려 익는데 2~3개가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개배암배추ㆍ나도석잠화라고도 한다. 흰색의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모가 지고 둔한 사각형이다. 흰 줄기의 모서리에 아래로 향한 털이 나 있다. 방향성이 있다. 밀원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가루를 내거나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이비인후과ㆍ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피부염ㆍ종독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