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풀

 익생양술에서 "꿀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하고초(夏枯草)/꿀풀"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5~7월
20~3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풀밭 성미 차며, 맵고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온포기ㆍ열매 5~10g
약효 온포기ㆍ열매ㆍ씨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두메꿀풀ㆍ붉은꿀풀ㆍ흰꿀풀
마주나며 길이 2~5cm의 긴 달걀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다. 길이 1~3cm인 잎자루가 있으나 위쪽의 잎에는 잎자루가 없다.
7~8월에 줄기 끝에 짧은 원기둥 모양의 꽃이삭을 달고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자줏빛 또는 적자색으로 피는데, 길이 3~8cm의 꽃이삭에 양 입술 모양의 꽃이 촘촘히 달린다. 꽃턱잎은 편평한 심장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각각 3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뾰족하게 5개로 갈라지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아랫입술꽃잎은 다시 3개로 갈라지는데 중앙의 갈라진 조각에는 톱니가 있다. 양성화는 크며 암꽃은 작고 4개의 수술 중 2개는 작다.
열매
8~9월에 황갈색의 분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서주하고초(徐州夏枯草)ㆍ하고초ㆍ꿀방망이ㆍ가지골나물이라고도 한다. 전체에 짧은 털이 하얗게 흩어져 나 있다. 줄기는 네모지고 다소 뭉쳐나며 곧게 서는데, 꽃이 진 다음에 밑에서 곁가지가 나온다. 유사종으로 흰 꽃이 피는 것을 흰꿀풀, 붉은 꽃이 피는 것을 붉은꿀풀이라 한다. 관상용ㆍ밀원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꽃나무를 말린 것을 화하고초(花夏枯草)라고 하며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하고초(夏枯草) / 꿀풀
라틴명 Prunellae Spica
약재의 효능 청간(淸肝)  (간(肝)의 열(熱)을 식혀주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서간울(舒肝鬱)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산결해열(散結解熱)
복홍사(伏汞砂)
작용부위 간(肝) , 담(膽)
성미 고신(苦辛) , 한(寒)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주의사항 화수(花穗). 오래 복용하면 안됨.
독성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치결핵일방(治結核一方)[2] /  흘답(疙瘩)결핵(結核)
치영류우방(治瘿瘤又方)[4] /  영류(瘿瘤)
하고초(夏枯草)[1] /  목적종통(目赤腫痛)
하고초(夏枯草)[2] /  자백전풍(紫白癜風)
하고초산(夏枯草散)[1] /  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
하고초산(夏枯草散)[2] /  냉루(冷淚)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수명(羞明)
하고초산(夏枯草散)[3] /  결핵(結核)나력(瘰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