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극천

 동의보감에서 "파극(巴戟)/파극천"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파극천(巴戟天)/파극천 뿌리"로 처방에 사용됨
파극(巴戟) / 파극천
라틴명 Morindae Radix
약재의 효능 온신장양(溫腎壯陽)  (신장(腎臟)을 따뜻하게 하고 양기(陽氣)를 보충해주는 효능임.)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자정(滋精)
증지(增志)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조혈맥(調血脈)  (혈맥(血脈)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강음익정(强陰益精)  (음(陰)을 강하게 하고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미온(微溫) , 신감(辛甘)
약재사용처방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  음위(陰痿)음랭(陰冷)
가구자원(家韭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陰虛)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국방안신원(局方安腎元) /  신허요통(腎虛腰痛)
국정원(菊睛元) /  예막(翳膜)안화(眼花)
귤피전원(橘皮煎元) /  비신구허(脾腎俱虛)구리(久痢)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1] /  신허(腎虛)
무비산약원(無比山藥元)[2] /  오로(五勞)허로(虛勞)칠상(七傷)
보신원(補腎元) /  원예(圓翳)
보진환(補眞丸) /  불사식(不思食)명문화쇠(命門火衰)
사초천련환(四炒川練丸) /  산(疝)
상단(上丹) /  음위(陰痿)
소신산(燒腎散) /  노롱(勞聾)
속사단(續嗣丹) /  무사(無嗣)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칠상(七傷)오로(五勞)
십보환(十補丸) /  한산(寒疝)음랭(陰冷)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수발조백(鬚髮早白)
오미자탕(五味子湯)[1] /  족위(足痿)청궐(淸厥)
온신산(溫腎散) /  요척통(腰脊痛)명문화쇠(命門火衰)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용향원(茸香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신산(益腎散) /  신허이롱(腎虛耳聾)
익원고진탕(益元固眞湯) /  노림(勞淋)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자음대보환(滋陰大補丸) /  음양구허(陰陽俱虛)
장본단(壯本丹) /  신허요통(腎虛腰痛)
지황음자(地黃飮子) /  중풍설음(中風舌瘖)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침향별갑산(沈香鱉甲散) /  허손(虛損)노상(勞傷)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곽란(霍亂)비위허한(脾胃虛寒)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파극환(巴戟丸)[2] /  포비(胞痺)
평보원(平補元) /  유뇨(遺尿)
포옹환(抱甕丸) /  귀태(鬼胎)혈고(血蠱)
호로파원(胡蘆巴元) /  분돈산(奔豚疝)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파극천(巴戟天) / 파극천 뿌리
라틴명 Morindae Radix
약재의 효능 온신장양(溫腎壯陽)  (신장(腎臟)을 따뜻하게 하고 양기(陽氣)를 보충해주는 효능임.)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자정(滋精)
증지(增志)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조혈맥(調血脈)  (혈맥(血脈)을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강근골(强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한다는 뜻임)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강음익정(强陰益精)  (음(陰)을 강하게 하고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미온(微溫) , 신감(辛甘)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약재사용처방 금쇄단(金鎖丹) /  정기불고(精氣不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