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별자(木鼈子) / 목별자

동의보감에서 "목별자(木鼈子) / 목별자"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목별자(木鼈子) / 목별자 종자
라틴명 |
Momordicae Semen |
약재의 효능 |
선통경락(宣通經絡)
(폐기(肺氣)를 개통시켜 경락(經絡)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산어열(散瘀熱)
(어혈(瘀血)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는 효능임)
|
|
제옹독(除癰毒)
(옹독(癰毒)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이대장(利大腸)
(대장(大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산결소종(散結消腫)
|
|
제분자간증(除粉刺䵟䵳)
(여드름이나 좌창(痤瘡)으로 인해서 피부가 거무스름해지는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위(胃)
|
성미 |
고감(苦甘)
, 소독(小毒)
, 온(溫)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공연단(控涎丹) /
담음유주(痰飮流注)
|
|
구선영응산(九仙靈應散) /
음위(陰痿)
|
|
녹운고(綠雲膏)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만응고(萬應膏)[1] /
옹저(癰疽)
, 열독종(熱毒腫)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백개자산(白芥子散) /
견비통(肩臂痛)
|
|
백배환(百倍丸) /
절상(折傷)
, 신허요통(腎虛腰痛)
, 좌섬(挫閃)
|
|
봉제애(封臍艾) /
제복냉통(臍腹冷痛)
|
|
생근산(生筋散) /
오연(五軟)
|
|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
|
신기산(神奇散)[2] /
변옹(便癰)
|
|
온제두두방(溫臍兜肚方) /
백탁(白濁)
, 유정(遺精)
, 적백대하(赤白帶下)
|
|
조등고(釣藤膏) /
경풍(驚風)
, 내조(內釣)
|
|
착호단(捉虎丹)[1] /
각기(脚氣)
|
|
착호단(捉虎丹)[2]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 한습각기(寒濕脚氣)
|
|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장옹(腸癰)
, 유옹(乳癰)
, 옹저(癰疽)
|
|
초오산(草烏散) /
골절(骨折)
|
|
침수고(沈水膏)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
타농산(打膿散) /
옹저(癰疽)
|
|
호박고(琥珀膏)[2] /
동창(凍瘡)
|
|
화비단(化痞丹) /
비괴(痞塊)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