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Brassicae Rhizoma cum Folium |
약재의 효능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이습(利濕) (이수약(利水藥)으로 하초(下焦)의 수습(水濕)을 소변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방법임.) | |
이오장(利五臟) (오장(五臟)의 기능을 윤활하게 하는 효능임) | |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 |
통중(通中) (중기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영인비건(令人肥健) (사람을 살찌우고 건강하게 만든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 |
성미 | 고신감(苦辛甘)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만청(蔓菁) / 유옹(乳癰) |

라틴명 | Brassicae Semen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이습(利濕) (이수약(利水藥)으로 하초(下焦)의 수습(水濕)을 소변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방법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명목해독(明目解毒) (눈을 밝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성미 | 신(辛)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만청자(蔓菁子)[3] / 청맹(靑盲) |
만청자(蔓菁子)[6] / 심복창만(心腹脹滿) | |
만청자(蔓菁子)[7] / 급황(急黃) , 습열황달(濕熱黃疸) | |
만청자환(蔓靑子丸) / 안목혼암(眼目昏暗) |

라틴명 | Brassicae Rhizoma cum Folium |
약재의 효능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이습(利濕) (이수약(利水藥)으로 하초(下焦)의 수습(水濕)을 소변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방법임.) | |
이오장(利五臟) (오장(五臟)의 기능을 윤활하게 하는 효능임) | |
해주독(解酒毒) (술을 과하게 마셔 그 후유증으로 생긴 독(毒)을 풀어주는 효능임) | |
통중(通中) (중기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영인비건(令人肥健) (사람을 살찌우고 건강하게 만든다는 의미를 가리키는 용어임.) | |
성미 | 고신감(苦辛甘) , 평(平) |

라틴명 | Brassicae Semen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이습(利濕) (이수약(利水藥)으로 하초(下焦)의 수습(水濕)을 소변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방법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명목해독(明目解毒) (눈을 밝게 하고 해독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성미 | 신(辛)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거삼시충일방(去三尸蟲一方) / 삼시충(三尸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