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蕤仁) / 참빈추나무
라틴명 | Prinsepiae Nux |
약재의 효능 | 소풍(疏風) |
산열(散熱) (열을 흩어서 없어지게 하는 것임.) | |
양간(養肝) (간(肝)의 음액(陰液)을 보태어주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퇴예(退翳) (예막(翳膜)을 치료하는 효능임.) | |
화간(和肝) (자음약(滋陰葯)과 소간약(疏肝葯)을 같이 사용하여 간허기울증(肝虛氣鬱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강지(强志) (지력(志力)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성미 | 감(甘) , 미한(微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허(虛)로 인한 눈병 환자는 쓰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마예고(磨翳膏) / 예막(翳膜) |
백점고(白點膏) / 예막(翳膜) | |
본사방양간원(本事方羊肝元) / 내장(內障) , 청맹(靑盲) | |
양간환(養肝丸) / 내장(內障) , 임신목병(妊娠目病) | |
용뇌고(龍腦膏)[1] / 태풍적란(胎風赤爛) | |
유인고(蕤仁膏) / 예장(翳障) | |
점예고(點瞖膏) / 예막(翳膜) | |
춘설고(春雪膏)[1] / 예막(翳膜) , 목적종통(目赤腫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