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하

 익생양술에서 "박하"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박하(薄荷)/박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박하엽(薄荷葉)/박하"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5~8월
60~100cm 취급요령 그늘에 말려 쓴다.
생지 논ㆍ밭ㆍ습지에 재배 성미 서늘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 1회사용량 온포기 6~10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녹양박하ㆍ양박하
길이 3~10mm의 짧은 잎자루가 달린 홑잎이 마주나는데 길이 2~5cm, 나비 1~2.5cm의 긴 타원형으로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양면에 기름점[油點]이 많이 흩어져 있고 약간의 털이 있다. 잎의 표면에 기름샘이 있어 여기에서 기름을 분비하는데 정유(精油 : 식물에서 얻는 향기가 있는 휘발성 기름)의 대부분은 이 기름샘에 저장되어 있다.
7~9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꽃들이 무리 지어 뭉쳐나와 줄기를 빙 둘러싸고 덩어리져 층을 이루면서 윤산 꽃차례로 달려 핀다. 빛깔은 엷은 자주색 또는 흰색이다. 꽃은 주로 오전 중에 피는데 꽃받침보다 작은 꽃자루에 달려 있다. 길이 2.5~3mm인 녹색의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가장자리에 퍼진 털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끝이 2개로 갈라진다. 씨방은 4실이다.
열매
9~10월에 타원형의 아주 작은 분과가 달려 익는다. 씨는 달걀꼴이고 연한 갈색이며 1,000알의 무게가 0.13g 정도로 매우 가볍다.
특징 및 사용
구박하(毆縛荷)ㆍ민트(mint)ㆍ번하채ㆍ야식향(夜息香)ㆍ영생이ㆍ인단초(仁丹草)라고도 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어 번식한다. 줄기는 둔하게 네모지며 곧게 자라고 잎과 더불어 부드러운 털이 약간 있다. 공업용ㆍ밀원ㆍ식용ㆍ약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꽃이 피기 시작할 때 박하유의 함유율이 가장 높다. 박하유의 주성분은 멘톨(Menthol=박하뇌ㆍ박하빙ㆍ박하상ㆍ박하정)인데 향기가 강하여 청량제ㆍ음료ㆍ사탕ㆍ과자ㆍ담배ㆍ치약ㆍ화장품 등의 향료 첨가제로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박하(薄荷) / 박하
라틴명 Menthae Herba
약재의 효능 소풍(疏風)
산열散熱)  (열을 흩어서 없어지게 하는 것임.)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선체(宣滯)  (막힌 것을 푸는 효능임)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투진(透疹)  (진독(疹毒)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임)
토담(吐痰)  (담(痰)을 토하는 증상임)
이인(利咽)  (인후(咽喉)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거악(去惡)  (악기(惡氣)을 제거하는 효능임)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개피모(開皮毛)  (피모(皮毛)를 열어주는 효능임)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제로(除勞)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영인구향(令人口香)
작용부위 간(肝) , 폐(肺)
성미 신(辛) , 양(凉)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주의사항 잎과 지상부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조열(潮熱)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  상초열(上焦熱)육경열(六經熱)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  두창경축(痘瘡驚搐)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은진(癮疹)
가미오형원(加味烏荊元)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은진(癮疹)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온역(瘟疫)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감로음(甘露飮) /  조열(潮熱)
강마탕(羌麻湯) /  파상풍(破傷風)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풍중장(風中臟)
강활퇴예탕(羌活退瞖湯) /  예막차정(藝膜遮睛)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혼모(昏冒)풍중장(風中臟)
괵귀산(馘鬼散) /  치통(齒痛)
구보음(九寶飮) /  구수(久嗽)한수(寒嗽)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  정두통(正頭痛)비색(鼻塞)편두통(偏頭痛)두풍(頭風)
기제청신산(旣濟淸神散) /  중초열(中焦熱)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녹포산(綠袍散)[1] /  치뉵(齒衄)
독활산(獨活散) /  아선(牙宣)치근동요(齒根動搖)
박하(薄荷)[2] /  두풍(頭風)풍열두통(風熱頭痛)
박하(薄荷)[3] /  농이(膿耳)
박하(薄荷)[4] /  풍열(風熱)
박하(薄荷)[5] /  중풍불어(中風不語)
박하(薄荷)[6] /  상한음양독(傷寒陰陽毒)
박하(薄荷)[7] /  골증(骨蒸)
박하(薄荷)[8] /  경풍(驚風)
박하단(薄荷丹) /  나력(瘰癧)
박하밀(薄荷蜜) /  설상생창(舌上生瘡)
박하즙(薄荷汁) /  심열(心熱)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예막(翳膜)내장(內障)
방풍산(防風散)[2] /  열궐두통(熱厥頭痛)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백지탕(白芷湯) /  위열치통(胃熱齒痛)풍치(風齒)
벽손정자(辟巽錠子) /  급경풍(急驚風)파상풍(破傷風)만경풍(慢驚風)
보간산(保肝散) /  내장(內障)간일성이(看一成二)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노수(勞嗽)허로(虛勞)
불환금단(不換金丹)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
비불문향취방(鼻不聞香臭方) /  비색(鼻塞)
빙벽환(氷蘗丸) /  구설생창(口舌生瘡)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사즙고(四汁膏) /  열수(熱嗽)
삼출반하탕(蔘朮半夏湯) /  만경풍(慢驚風)
삼화탕(三和湯)[1] /  열결(熱結)혈폐(血閉)
상청산(上淸散) /  풍두통(風頭痛)미능골통(眉稜骨痛)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  소아제창(小兒諸瘡)
생진양혈탕(生津養血湯) /  상소(上消)
선열단(宣熱丹) /  풍열(風熱)나력(瘰癧)
선태산(蟬蛻散) /  주상(酒傷)
성성산(惺惺散) /  상풍발열(傷風發熱)번갈(煩渴)담수(痰嗽)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풍열(風熱)안목적종(眼目赤腫)
세간산(洗肝散) /  간실(肝實)
세신탕(細辛湯) /  아치종통(牙齒腫痛)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소서각환(小犀角丸) /  나력(瘰癧)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4] /  마아(馬牙)
소요산(逍遙散) /  월경부조(月經不調)오심번열(五心煩熱)
소통성산(小通聖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중풍(中風)반신불수(半身不遂)
소화환(消化丸) /  허로(虛勞)폐위(肺痿)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수풍환(搜風丸)[2] /  열비(熱秘)풍비(風秘)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  면열(面熱)
신궁도수환(神芎導水丸) /  노채(勞瘵)정수(停水)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예막(翳膜)내장(內障)외장(外障)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양격산(凉膈散) /  적열(積熱)구설생창(口舌生瘡)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여성승금정(如聖勝金錠) /  단유아(單乳蛾)쌍유아(雙乳蛾)목설(木舌)중설(重舌)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영양각산(羚羊角散)[1] /  녹풍내장(綠風內障)
옥설탕(沃雪湯)[1] /  두목현훈(頭目眩暈)풍습(風濕)
옥지원(玉芝元) /  담수(痰嗽)
용뇌계소환(龍腦鷄蘇丸) /  수혈(嗽血)객혈(喀血)
용성단(龍星丹) /  담연옹성(痰涎壅盛)혼모(昏冒)
윤폐제수음(潤肺除嗽飮) /  구수(久嗽)
은포산(恩袍散) /  객혈(喀血)토혈(吐血)타혈(唾血)
이격탕(利膈湯) /  후옹(喉癰)
이장음(梨漿飮) /  조열(潮熱)
이황산(二黃散) /  노육반정(努肉攀睛)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인삼반하환(人蔘半夏丸) /  구천(久喘)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1] /  폐실열(肺實熱)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2] /  열수(熱嗽)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작약탕(芍藥湯)[2] /  구창(口瘡)
전설고(轉舌膏) /  중풍불어(中風不語)
점란현풍약(點爛弦風藥) /  난현풍(爛弦風)
정설산(正舌散) /  어삽(語澁)설강(舌强)중풍(中風)
정전양간원(正傳羊肝元) /  예막(翳膜)청맹(靑盲)
지모복령탕(知母茯苓湯) /  폐위(肺痿)
지선산(地仙散) /  골증(骨蒸)
찰아방(擦牙方)[1] /  치통(齒痛)
찰아방(擦牙方)[2] /  치통(齒痛)
창이산(蒼耳散)[1] /  비연(鼻淵)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  편두통(偏頭痛)정두통(正頭痛)
천궁환(川芎丸) /  두목불청(頭目不淸)
청골산(淸骨散) /  오심번열(五心煩熱)골증(骨蒸)노채(勞瘵)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1] /  열담(熱痰)
청량산(淸凉散)[2] /  인후종통(咽喉腫痛)실화(實火)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절풍(癤風)두면창(頭面瘡)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  두목불청(頭目不淸)
청열여성산(淸熱如聖散) /  설종(舌腫)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  후폐(喉閉)유아(乳蛾)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청폐음자(淸肺飮子) /  비사(鼻齄)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총이탕(聰耳湯) /  이중청(耳重聽)
축비통천산(縮鼻通天散) /  졸중풍(卒中風)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1] /  달벽(疸癖)
치황달애끽다엽일방(治黃疸愛喫茶葉一方) /  담벽(痰癖)
탕포산(湯泡散)[2] /  안적종통(眼赤腫痛)화예백함(花瞖白陷)
태평환(太平丸) /  폐위(肺痿)허로(虛勞)
통관산(通關散)[2] /  졸중풍(卒中風)
통관음(通關飮) /  후비(喉痺)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퇴풍산(退風散) /  파상풍(破傷風)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  후비(喉痺)인후종통(咽喉腫痛)
행인반하탕(杏仁半夏湯) /  기천(氣喘)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  실음(失音)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형개탕(荊芥湯)[1] /  풍치(風齒)위열치통(胃熱齒痛)
활룡산(活龍散) /  상한양독(傷寒陽毒)
활명금단(活命金丹) /  몽매(蒙昧)중풍(中風)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황련탕(黃連湯)[1] /  설종(舌腫)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비연(鼻淵)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박하엽(薄荷葉) / 박하
라틴명 Menthae Herba
약재의 효능 소풍(疏風)
산열散熱)  (열을 흩어서 없어지게 하는 것임.)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선체(宣滯)  (막힌 것을 푸는 효능임)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투진(透疹)  (진독(疹毒)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임)
토담(吐痰)  (담(痰)을 토하는 증상임)
이인(利咽)  (인후(咽喉)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거악(去惡)  (악기(惡氣)을 제거하는 효능임)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개피모(開皮毛)  (피모(皮毛)를 열어주는 효능임)
이관절(利關節)  (관절의 움직임을 편하게 하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제로(除勞)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영인구향(令人口香)
작용부위 간(肝) , 폐(肺)
성미 신(辛) , 양(凉)
약전기재 중국약전
주의사항 잎과 지상부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해수(咳嗽)실음(失音)
불수산(佛手散)[2] /  후옹(喉癰)인후종통(咽喉腫痛)
상청원(上淸元)[1] /  인후종통(咽喉腫痛)구설생창(口舌生瘡)
상청원(上淸元)[2] /  상초열(上焦熱)
용뇌고(龍腦膏)[3] /  단유아(單乳蛾)후비(喉痺)쌍유아(雙乳蛾)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유향고(乳香膏) /  배창(背瘡)
청심탕(淸心湯) /  상초열(上焦熱)
치화반창일방(治火斑瘡一方) /  화반창(火斑瘡)
필징가환(蓽澄茄丸) /  비색(鼻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