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머루

 익생양술에서만 "왕머루"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열매), 수시(뿌리)
길이 10m 정도 취급요령 열매는 날것, 뿌리는 말려 쓴다.
생지 산지 성미 서늘하며, 달다.
분류 낙엽 활엽 덩굴나무 독성여부 없다.
번식 꺾꽂이ㆍ접목ㆍ씨 1회사용량 열매 40~50g, 뿌리 10~15g
약효 열매ㆍ뿌리 사용범위 열매는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포도ㆍ섬왕머루ㆍ털왕머루
어긋나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12~20cm의 넓은 달걀꼴 또는 심장 모양의 원형으로서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진 오각형이다. 갈라진 조각의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뒷면 맥 위에 간혹 털이 있다.
6월에 황록색의 오판화가 피는데 잎과 마주나는 꽃대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짧은 꽃자루에 수많은 꽃이 빽빽하게 달린다. 암수딴그루이다. 꽃받침은 둥글다. 5개인 꽃잎은 앞쪽의 끝이 서로 붙어 있고 밑 부분이 갈라져 있다. 수꽃에는 수술이 5개, 암꽃에는 1개의 암술과 5개의 헛수술이 있으며 수술대 사이에 꿀샘이 있다.
열매
9월에 지름 6~8cm의 둥근 장과가 송이를 이루며 달려 밑으로 늘어져서 검게 익는다. 열매 속에 2~3개의 씨가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머레순ㆍ멀구덩굴ㆍ야포도(野葡萄)ㆍ산포도라고도 한다. 덩굴성 식물로서 포도나무와 산머루나무의 중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어린가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고 붉은빛이 돌며 처음에는 솜털로 덮여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이삭 아래쪽에서 덩굴손이 길게 나와 다른 물체에 감긴다. 유사종으로 잎 뒷면에 적갈색의 털이 있는 것을 머루, 적갈색 털이 촘촘히 났다가 곧 떨어지는 것을 섬머루라 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는 생식하거나 술을 담그고 어린잎은 나물로 먹는다. 원줄기는 탄력이 좋아서 지팡이감으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위장경에 효험이 있으며, 피부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