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지

 동의보감에서 "익지(益智)/익지 열매"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익지인(益智仁)/익지 열매"로 처방에 사용됨
익지(益智) / 익지 열매
라틴명 Alpiniae Oxyphyllae Fructus
약재의 효능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조기(調氣)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삽정(澁精)  (치료법의 하나. 수삽약(收澁藥)으로 몽정(夢精), 활정(滑精), 누정(漏精), 뇨정(尿精) 등의 유정(遺精)을 치료하는 방법임.)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익비위(益脾胃)  (비위(脾胃)의 기운을 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이삼초(利三焦)  (삼초(三焦)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보신허(補腎虛)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행양퇴음(行陽退陰)
온양하원(溫養下元)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심(心)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약재사용처방 연라환(連蘿丸) /  비괴(痞塊)현훈(眩暈)조잡(嘈雜)
온신환(溫腎丸) /  무사(無嗣)
익지(益智) /  구취(口臭)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  옹저설사(癰疽泄瀉)
투빙단(透氷丹) /  중풍열증(中風熱證)탄탄(癱瘓)중풍(中風)
익지인(益智仁) / 익지 열매
라틴명 Alpiniae Fructus
약재의 효능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조기(調氣)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삽정(澁精)  (치료법의 하나. 수삽약(收澁藥)으로 몽정(夢精), 활정(滑精), 누정(漏精), 뇨정(尿精) 등의 유정(遺精)을 치료하는 방법임.)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익비위(益脾胃)  (비위(脾胃)의 기운을 더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이삼초(利三焦)  (삼초(三焦)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보신허(補腎虛)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행양퇴음(行陽退陰)
온양하원(溫養下元)
작용부위 비(脾) , 신(腎)
성미 신(辛) , 온(溫)
약전기재 일본약국방
약재사용처방 가미복령탕(加味茯苓湯) /  건망(健忘)담미심규(痰迷心竅)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1] /  기담(氣痰)매핵기(梅核氣)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3] /  매핵기(梅核氣)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소변적탁(小便赤濁)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신허불임(腎虛不姙)
고본원(固本元) /  소변백탁(小便白濁)
고진단(固眞丹) /  몽설(夢泄)유정(遺精)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중만(中滿)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복창(腹脹)
균기환(均氣丸) /  애기(噯氣)
기제환(旣濟丸)[1] /  방광허한(膀胱虛寒)소변불금(小便不禁)
기제환(旣濟丸)[2] /  소변불금(小便不禁)포기불고(胞氣不固)
대봉수단(大鳳髓丹) /  정기불고(精氣不固)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穀脹)기창(氣脹)
대칠기탕(大七氣湯) /  오적(五積)심복창만(心腹脹滿)육취(六聚)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묘응환(妙應丸)[2] /  적백탁(赤白濁)
백배환(百杯丸) /  상주(傷酒)징벽(癥癖)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냉심통(冷心痛)
비해분청음(萆薢分淸飮) /  소변백탁(小便白濁)
삼기탕(蔘芪湯)[3] /  소변불금(小便不禁)
삼릉소적환(三稜消積丸) /  식적(食積)
수화분청음(水火分淸飮) /  적백탁(赤白濁)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面寒)
신소산(神消散) /  산통(疝痛)
십미창백산(十味蒼柏散) /  산통(疝痛)
오자원(五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용향원(茸香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익원고진탕(益元固眞湯) /  노림(勞淋)
익지인(益智仁)[2] /  소변불금(小便不禁)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하혈(下血)장벽(腸澼)
인삼평보탕(人蔘平補湯) /  신허(腎虛)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한창(寒脹)중만(中滿)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반위(反胃)
축천원(縮泉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치소변백탁출수조방(治小便白濁出髓條方) /  정활(精滑)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침향천마탕(沈香天麻湯) /  경간(驚癎)
파극환(巴戟丸)[1] /  탈정(脫精)
평보원(平補元) /  유뇨(遺尿)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2] /  비허(脾虛)
회양탕(回陽湯) /  중한(中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