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Kansui Radix |
약재의 효능 |
사수축음(瀉水逐飮)
(수(水)를 없애고 음사(飮邪)를 배출시키는 효능임)
|
|
파적취(破積聚)
(몸 안의 적취(積聚)를 흩어 주는 효능임)
|
|
소통12경맥(疎通十二經脈)
|
|
통리이변(通利二便)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
|
공견파결(攻堅破結)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신(腎)
, 폐(肺)
|
성미 |
고(苦)
, 유독(有毒)
, 한(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임산부는 복용하지 말 것. 감초(甘草)와 같이 쓰지 말 것. |
독성 |
Kansuinine A and Kansuinine B are very toxic.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
|
감수(甘遂)[1] /
구롱(久聾)
|
|
감수산(甘遂散)[1] /
오간(五癎)
|
|
감수산(甘遂散)[2]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감수산(甘遂散)[3] /
이롱(耳聾)
|
|
공연단(控涎丹) /
담음유주(痰飮流注)
|
|
공연환(控涎丸) /
전간(癲癎)
|
|
과반산(瓜礬散) /
비치(鼻痔)
|
|
권백산(卷柏散) /
각기(脚氣)
|
|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
|
대성준천산(大聖濬川散) /
수습(水濕)
|
|
대함흉탕(大陷胸湯) /
열결흉(熱結胸)
|
|
대함흉환(大陷胸丸) /
열결흉(熱結胸)
|
|
도제고(塗臍膏) /
소변불리(小便不利)
, 수종(水腫)
|
|
마비풍산(馬脾風散) /
마비풍(馬脾風)
|
|
만병원(萬病元)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벽괴(癖塊)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전간(癲癎)
|
|
만응환(萬應丸)[2] /
적취(積聚)
|
|
묘응단(妙應丹)[2] /
담음유주(痰飮流注)
, 경담(驚痰)
|
|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1] /
수습종만(水濕腫滿)
|
|
삼화신우환(三花神祐丸)[2] /
임폐(淋閉)
, 수습(水濕)
, 복창(腹脹)
, 중만(中滿)
, 천수(喘嗽)
|
|
선적환(宣積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소위단(小胃丹) /
습담(濕痰)
, 풍담(風痰)
, 식적담수(食積痰嗽)
, 열담(熱痰)
|
|
승습병자(勝濕餠子) /
각기(脚氣)
|
|
십수환(十水丸) /
십종수기(十種水氣)
|
|
십조탕(十棗湯) /
협통(脇痛)
, 상한소양병(傷寒少陽病)
|
|
외부약(外敷藥) /
복창(腹脹)
|
|
외신산(煨腎散) /
습열요통(濕熱腰痛)
|
|
외신환(煨腎丸) /
습열요통(濕熱腰痛)
|
|
웅사환(雄砂丸) /
제충(諸蟲)
|
|
주거신우환(舟車神祐丸) /
수습중조(水濕中阻)
|
|
주거환(舟車丸) /
습열울체(濕熱鬱滯)
|
|
창만설사외부약(脹滿泄瀉外敷藥) /
창만(脹滿)
|
|
천령개산(天靈蓋散) /
노채(勞瘵)
|
|
첩제고(貼臍膏)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통경산(通經散) /
습요통(濕腰痛)
|
|
해금사산(海金砂散)[3] /
부종(浮腫)
, 천급(喘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