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제주도, 홍도 | 채취기간 | 연중 |
키 | 1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지의 숲 속 나무 그늘 | 성미 | 평온하며, 달고 쓰다. |
분류 | 상록 활엽 관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8∼15g |
약효 | 전체 또는 뿌리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마주나는데 길이 10~25mm, 나비 7~20mm의 달걀꼴, 넓은 달걀꼴 또는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앞면은 짙은 녹색의 가죽질이며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짧거나 없다.
꽃
6월에 길이 15mm 정도의 흰 꽃이 가지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2개씩 달려 핀다.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은 길이 1.5mm 정도의 종 모양이다. 꽃받침 조각은 4줄로 늘어서는데 잔털이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끝이 4개로 갈라지고 안쪽에 털이 촘촘히 난다.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4개로 갈라진다.
열매
9월에 길이 5~7mm의 둥근 장과가 달려 붉게 익는데 겨울까지 남아 있다.
특징 및 사용
복우화(伏牛花)ㆍ화자나무라고도 한다. 뾰족한 가시가 호랑이를 찌른다 하여 호자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 퍼지는데 가지는 회백색이고 어린가지에 곱슬털이 촘촘히 난다. 잎이 달린 자리에서 가시가 나오는데 길이 5~20mm로 잎의 길이와 거의 같다. 유사종으로 잎이 보다 크고 가시는 도리어 짧은 것을 수정목이라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바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순환계ㆍ신장ㆍ호흡기 질환과 간경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