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Paeoniae Radix |
약재의 효능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양혈(養血)
(보혈약(補血藥)을 사용하여 혈(血)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
|
조경(調經)
(12경맥(經脈)을 도와주는 효능임)
|
|
사간(瀉肝)
(청법(淸法)의 하나. 고한(苦寒)한 약물을 사용하여 간화(肝火)를 청설하는 방법임.)
|
|
안비(安脾)
(비(脾)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
|
염음(斂陰)
(음기(陰氣)를 수렴하는 치료법임.)
|
|
지한(止汗)
(손등의 가운뎃손가락과 무명지(無名指)의 사이로, 지골(指骨)과 중수골(中手骨)의 접합처에서 위로 1치[寸] 6푼[分]이 되는 곳에 위치하며 땀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동씨기혈(董氏奇穴)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강오장(强五臟)
(오장(五臟)을 강하게 하는 효능임)
|
|
화영설열(和營泄熱)
(영혈(營血)을 조화시켜 열을 내보내게 하는 효능임)
|
|
완급지통(緩急止痛)
(급(急)한 기운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이방광대소장(利膀胱大小腸)
(방광(膀胱)과 대장(大腸), 소장(小腸)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수렴(收斂)
(넓게 펼쳐진 기운을 안으로 모으는 것을 말하는 것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폐(肺)
|
성미 |
고산(苦酸)
, 미한(微寒)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주의사항 |
여로(藜蘆)와 같이 쓰지 말 것. 장위중랭자(腸胃中冷者)는 복용하지 말 것. |
독성 |
Reports of traditional use indicate that Paeoniae Radix may have abortifacient activity; therefore, the use of Paeoniae Radix in pregnancy is contraindicated 1). Paeoniae Radix should not be combined with Fritillaria verticillata, Cuscuta japonica, and Rheum officinalle 2). There are no reliable studies on this subject. Therefore, nursing mothers should not take Paeoniae Radix without consulting a physician. Paeoniae Radix should not be administered to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Woo WS et al. A review of research on plants for fertility regul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gy, 1981, 12;153-170. 2) Keys JD. Chinese herbs, their botany, chemistry and pharmacodynamics. Rutland, VT, CE Tuttle, 1976.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
|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1] /
안동(眼疼)
, 비건(鼻乾)
, 양명경병(陽明經病)
|
|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2] /
온역(瘟疫)
|
|
감리근탕(甘李根湯) /
상한동기(傷寒動氣)
, 기상충(氣上衝)
|
|
계마각반탕(桂麻各半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계비각반탕(桂婢各半湯)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계지홍화탕(桂枝紅花湯) /
열결흉(熱結胸)
|
|
계지황기탕(桂枝黃芪湯) /
황한(黃汗)
|
|
궁갈탕(芎葛湯) /
풍한협통(風寒脇痛)
|
|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2] /
파상풍(破傷風)
|
|
대시호탕(大柴胡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
|
도씨승양산화탕(陶氏升陽散火湯) /
동계(動悸)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2] /
심위통(心胃痛)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3]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벽괴(癖塊)
|
|
만응고(萬應膏)[1] /
옹저(癰疽)
, 열독종(熱毒腫)
|
|
만응고(萬應膏)[2] /
옹종(癰腫)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
|
복령탕(茯苓湯)[1] /
통비(痛痺)
, 부종(浮腫)
|
|
부자탕(附子湯)[2]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분돈탕(奔豚湯) /
신적(腎積)
|
|
사역산(四逆散)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산혈소종탕(散血消腫湯) /
혈창(血脹)
|
|
삼양탕(三陽湯) /
삼양두통(三陽頭痛)
|
|
삼호작약탕(蔘胡芍藥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
|
삼황탕(三黃湯)[1] /
구감(口甘)
|
|
상청산(上淸散) /
풍두통(風頭痛)
, 미능골통(眉稜骨痛)
|
|
세탑탕(洗溻湯) /
음식창(陰蝕瘡)
|
|
소청룡탕(小靑龍湯)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
, 중풍(中風)
|
|
속명자산(續命煮散) /
허증(虛症)
, 중풍(中風)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1] /
기궐두통(氣厥頭痛)
|
|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1] /
상한동기(傷寒動氣)
|
|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2] /
소양학(少陽瘧)
|
|
양단탕(陽旦湯) /
상한양증(傷寒陽證)
|
|
연심산(蓮心散)[2] /
노채(勞瘵)
|
|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
상한이증(傷寒裏證)
|
|
음단탕(陰旦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작약(芍藥)[2] /
혈폐(血閉)
|
|
작약(芍藥)[3] /
혈허복통(血虛腹痛)
|
|
작약(芍藥)[4] /
혈허복통(血虛腹痛)
, 산전후제병(産前後諸病)
|
|
작약감초탕(芍藥甘草湯)[2] /
번조(煩躁)
, 오한(惡寒)
, 상한(傷寒)
, 각련(脚攣)
|
|
저제탕(猪蹄湯) /
옹저(癰疽)
, 악창(惡瘡)
|
|
정양산(正陽散)[1]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조중탕(調中湯)[2] /
온역(瘟疫)
|
|
주귀음(酒歸飮) /
나두창(癩頭瘡)
|
|
진교음자(秦艽飮子) /
여로달(女勞疸)
|
|
진무탕(眞武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청폐음자(淸肺飮子) /
비사(鼻齄)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통현이팔단(通玄二八丹) /
적취(積聚)
|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2]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