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Saccharum Nigrum |
약재의 효능 |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
보비(補脾) (비(脾)의 기능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비의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보충하는 치법임.) | |
완간(緩肝) (간(肝)의 급(急)한 기운을 완화시키는 효능임) | |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주(解酒) (주독(酒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조오장(助五臟) (오장(五藏)을 도와주는 효능임) | |
화비난간(和脾暖肝) (비장(脾臟)의 기능을 조화시키고 간장(肝臟)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비(脾) , 폐(肺)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이강원(飴薑元) / 한수(寒嗽) |

라틴명 | Sacchari cum Lac |
약재의 효능 |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조비기(助脾氣) (비기(脾氣)를 도와주는 효능임) | |
완간기(緩肝氣) (간기(肝氣)의 급(急)한 기운을 완화시키는 효능임) | |
성미 | 감(甘) , 한(寒) |
주의사항 | 담습자(痰濕者)는 먹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여지고(荔枝膏) / 소갈(消渴) |

라틴명 | Saccharum Alba |
약재의 효능 |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
보비(補脾) (비(脾)의 기능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비의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보충하는 치법임.) | |
완간(緩肝) (간(肝)의 급(急)한 기운을 완화시키는 효능임) | |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주(解酒) (주독(酒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조오장(助五臟) (오장(五藏)을 도와주는 효능임) | |
화비난간(和脾暖肝) (비장(脾臟)의 기능을 조화시키고 간장(肝臟)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비(脾) , 폐(肺)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재사용처방 | 가미상청환(加味上淸丸) / 해수(咳嗽) , 실음(失音) |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 허손(虛損) | |
현상고(玄霜膏)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라틴명 | Saccharum |
약재의 효능 |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
보비(補脾) (비(脾)의 기능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비의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보충하는 치법임.) | |
완간(緩肝) (간(肝)의 급(急)한 기운을 완화시키는 효능임) | |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주(解酒) (주독(酒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조오장(助五臟) (오장(五藏)을 도와주는 효능임) | |
화비완간(和脾緩肝) | |
작용부위 | 비(脾) , 폐(肺) |
성미 | 감(甘) , 평(平) |
주의사항 | 감서(甘蔗) 뿌리의 즙을 말린 것. 많이 복용하면 안됨. |
약재사용처방 | 감로회천음(甘露回天飮) / 두불염(痘不{염}) |
감적병(疳積餠) / 오장감(五臟疳) | |
개금탕(開噤湯) / 금구리(噤口痢) | |
거수고(去水膏) / 옹저(癰疽) | |
금화선방(噙化仙方) / 폐위(肺痿) , 해역상기(咳逆上氣) | |
백설고(白雪糕) / 비위허한(脾胃虛寒) | |
복령조화고(茯苓造化糕)[1] / 비위허약(脾胃虛弱) | |
비전삼선고(秘傳三仙糕)[1]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사당설(砂糖屑) / 염창(臁瘡) | |
사당원(砂糖元)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저강환(杵糠丸) / 오격(五膈) | |
저마근(苧麻根) / 효천(哮喘) | |
청금강화단(淸金降火丹) / 상초열(上焦熱) | |
청화환(淸化丸) / 울수(鬱嗽) | |
치끽니방(治喫泥方) / 담벽(痰癖) | |
치자수일방(治子嗽一方) / 자수(子嗽) | |
해비상독일방(解砒霜毒一方)[8] / 비상중독(砒霜中毒) | |
행인전(杏仁煎) / 실음(失音) | |
화중음(和中飮) / 적백리(赤白痢) , 구리(久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