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호장근

 익생양술에서만 "왕호장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울릉도 채취기간 가을~다음해 봄
2~3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계곡 성미 평온하며,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실생ㆍ분주 1회사용량 10~12g
약효 뿌리 사용범위 null
동속약초 호장근ㆍ당호장근의 뿌리
어긋나는데 길이 15~30cm의 삼각형을 닮은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밑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홈이 패인 잎맥과 더불어 뒷면은 흰빛이 돈다. 턱잎은 막질이고 잎자루가 길다.
8~9월에 흰색의 잔꽃들이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겹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암수딴그루의 단성화이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 조각은 5개이며 8개인 수술은 꽃받침보다 길다. 바깥쪽 꽃덮이 조각의 뒷면에 날개가 있으며 이것이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끝이 3개로 갈라진 암술대가 있다.
열매
9~10월에 세모진 달걀꼴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꽃받침에 싸여 있다.
특징 및 사용
왕호장ㆍ왕싱아ㆍ엿앗대ㆍ개호장ㆍ왕까치수영ㆍ왕감제풀ㆍ큰감제풀이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널리 퍼지는데 겉은 갈색이지만 속은 황색이다. 밑에서 줄기가 모여나는데 속이 비었으며 녹색이지만 햇빛이 닿은 곳은 붉어진다. 어린순은 죽순처럼 생겼으며 어린 줄기에 호랑이 가죽 모양으로 자주색 반점이 퍼져 있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풀이다. 겉으로 보기에 호장근과 비슷하지만 호장근보다 전체적으로 훨씬 커서 왕호장근이라 부른다. 또한 호장근에 비해 잎의 밑 부분이 심장형이며 뒤가 분백색인 점이 다르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줄기를 호장(虎杖), 잎을 호장엽(虎杖葉)이라 하며 약재로 쓴다. 어린 줄기는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간 질환과 악성 종양에 효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