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밀(蜂蜜) / 양봉꿀벌의 꿀
라틴명 | Mel |
약재의 효능 | 익기(益氣) |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 |
양폐(養肺) (윤폐(潤肺)와 같은 것으로 폐(肺)를 윤택(潤澤)하게 하는 효능임) | |
윤조潤燥) (자윤(滋潤)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조증(燥證)을 치료하는 방법.) | |
활장(滑腸) (장(腸)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안오장(安五臟)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화영위(和營衛) (위기(衛氣)와 영혈(營血)을 조화시키는 효능임) | |
통삼초(通三焦) (삼초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조비위(調脾胃) (비위(脾胃)를 조절하는 효능임) | |
제심번(除心煩) (심장이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명이목(明耳目) (눈과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 |
화백약(和百藥) (백가지 약재의 약효를 조화롭게 하는 효능임) | |
화감활윤(和甘滑潤) (달콤한 맛으로 조화시켜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비(脾) , 폐(肺)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비위불실(脾胃不實), 신기허활(腎氣虛滑), 습열담체(濕熱痰滯), 흉비불관(胸痞不寬), 장활설사(腸滑泄瀉) 등이 증상이 있으면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감리고(坎離膏)[2] / 음허화동(陰虛火動) |
벽손정자(辟巽錠子) / 급경풍(急驚風) , 파상풍(破傷風) , 만경풍(慢驚風) | |
서성복전환(西聖復煎丸) / 양매창(楊梅瘡) | |
윤장탕(潤腸湯)[2] / 노인대변비결(老人大便秘結) | |
팔선고(八仙膏) / 열식(噎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