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3월경 |
키 | 10m 정도 |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
생지 | 습윤한 곳의 양지, 정원에 재배 | 성미 | 서늘하며, 맵다. |
분류 | 낙엽 활엽 교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꺾꽂이ㆍ접목ㆍ씨 | 1회사용량 | 꽃봉오리 4~6g |
약효 | 개화 전의 꽃봉오리 | 사용범위 | 너무 많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동속약초 | 백목련ㆍ자목련 |
잎
어긋나며 길이 5~15cm, 나비 3~6cm의 타원형이나 거꿀달걀꼴 또는 넓은 달걀꼴로서 끝이 급히 뾰족해진다. 잎자루는 길이 1~2cm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앞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에는 털이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다.
꽃
4월 중순부터 잎이 돋기 전에 지름 10cm 정도 되는 흰 꽃이 진한 향기를 풍기며 핀다. 6~9개인 꽃잎은 길이 5~8cm의 긴 타원형이고 흰색이지만 밑쪽은 연한 홍색이다. 3개인 꽃받침 조각은 길이 1.5cm 안팎의 선형으로서 꽃잎보다 짧으며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30~40개이고 꽃밥과 수술대 뒷면이 적색이다. 암술도 수술처럼 많다.
열매
9~10월에 길이 5~7cm인 원통형의 분과가 모여 달려 갈색으로 익는데 곧거나 구부러진다. 씨는 길이 12~13mm의 타원형이며 껍질은 붉은색이다.
특징 및 사용
목란이라고도 하며, 꽃눈이 붓을 닮아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 하여 북향화(北向花)라고도 한다. 가지는 자줏빛이 도는 갈색인데 굵고 털이 없으며 많이 갈라진다. 잎눈[葉芽]에는 털이 없으나 꽃눈[花芽]의 꽃턱잎에는 털이 촘촘히 난다. 음지에서는 개화ㆍ결실이 되지 않는다. 나무껍질을 목란피(木蘭皮), 꽃을 목란화(木蘭花)라고 한다. 공업용(기구ㆍ건축재)ㆍ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석곡ㆍ황기ㆍ황련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신경계ㆍ순환계ㆍ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