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에

 익생양술에서 "누에"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백강잠(白殭蠶)/누에"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홍견(紅絹)/붉은 명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견(繭)/누에나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마명퇴(馬鳴退)/누에나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만잠아(晩蠶蛾)/누에나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면견(綿繭)/누에고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아견각(蛾繭殼)/누에고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원잠아(原蠶蛾)/누에나방"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잠견(蠶繭)/누에고치"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잠사(蠶砂)/누에 똥"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잠퇴(蠶退)/누에의 탈피각"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잠퇴지(蠶退紙)/누에가 알을 깐 종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황견(黃絹)/누에의 황색 분비물로 짠 명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황사견(黃絲絹)/누에의 황색 분비물로 짠 명주"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채취기간 봄, 가을(누에치는 시기)
누에 5~6cm, 나방 2~2.5cm 취급요령 말려 두고 쓴다.
생지 누에 사육장 성미 따뜻하며, 달고 쓰다.
분류 곤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산란 1회사용량 3~5g
약효 전체 사용범위 null
특징 및 사용
누에나방의 애벌레로 알에서 나올 때는 검고 털이 있으나 첫번째 탈피(脫皮) 때 털을 벗고 흰색이 된다. 13개의 마디가 있으며 전부 4번에 걸쳐 잠잘 때마다 꺼풀을 벗는다. 크면 실을 토해 고치를 만들며 그 안에서 탈피하여 번데기가 된다. 유충기는 25일 쯤이며 우화(羽化)하여 나방이 된다. 나방이 되면 고치를 뚫고 나와 알을 낳고 죽는다. 날개 길이는 40cm 가량이다. 암컷은 날개가 희고 몸이 굵고 촉각이 회색, 수컷은 날개가 회색이고 몸이 좀 작으며 촉각이 검다. 교정하여 알을 낳은 뒤에 죽는다. 고치에서 견사(絹絲)를 얻는다. 기르는 누에를 가잠(家蠶), 뽕누에를 상잠(桑蠶), 누에나방을 잠아(蠶蛾) 또는 원잠아(原蠶蛾)라고 한다.
백강잠(白殭蠶) / 누에
라틴명 Bombyx cum Batryte
약재의 효능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해경(解痙)  (사지가 뻣뻣해지는 경(痙)을 풀어주는 효능임)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행경(行經)  (인체를 순회하는 경락(經絡)을 소통시켜 잘 운행되게 하는 효능임)
살삼충(殺三蟲)  (회충(蛔蟲)과 같은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멸반흔(滅瘢痕)  (흉터나 반점을 없애는 효능임)
발정근(拔疔根)  (종기를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위(胃) , 폐(肺)
성미 신함(辛鹹)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백강병균에 감염된 유충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양매창(楊梅瘡)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가미강황환(加味殭黃丸) /  노자온(鸕鶿瘟)하마온(蝦蟆瘟)대두온(大頭瘟)
가미납반환(加味蠟礬丸) /  감루(疳瘻)
가미청주백원자(加味靑州白元子) /  구안와사(口眼喎斜)탄탄(癱瘓)중풍(中風)
갈초산(蝎梢散)[2] /  촬구(撮口)제풍(臍風)태풍(胎風)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1] /  궐역두통(厥逆頭痛)치통(齒痛)뇌풍(腦風)
강황환(殭黃丸) /  후비(喉痺)대두온(大頭瘟)
개관산(開關散)[2] /  경풍(驚風)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건골산(健骨散) /  두연(頭軟)항연(項軟)
견정산(牽正散)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
경기원(驚氣元) /  전간(癲癎)
공연환(控涎丸) /  전간(癲癎)
관중환(貫衆丸) /  구충병(九蟲病)삼시충(三尸蟲)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  정두통(正頭痛)비색(鼻塞)편두통(偏頭痛)두풍(頭風)
길경탕(桔梗湯)[2] /  실음(失音)후비(喉痺)
능소화산(凌宵花散)[2] /  나풍(癩風)
대경원(大驚元) /  급경풍(急驚風)소아야제(小兒夜啼)
발성산(發聲散)[1] /  실음(失音)
발성산(發聲散)[2] /  후옹(喉癰)
방풍원(防風元) /  만경풍(慢驚風)
백강잠(白殭蠶)[1] /  면간(面䵟)
백강잠(白殭蠶)[2] /  급후폐(急喉閉)
백강잠(白殭蠶)[3] /  객오(客忤)촬구(撮口)제풍(臍風)
백강잠산(白殭蠶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백부자환(白附子丸) /  담훈(痰暈)
백원자(白圓子) /  담수(痰嗽)
벽손정자(辟巽錠子) /  급경풍(急驚風)파상풍(破傷風)만경풍(慢驚風)
보명단(保命丹)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보생단(保生丹) /  만경풍(慢驚風)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  대두온(大頭瘟)
봉강환(蜂薑丸) /  주수(酒嗽)
불수산(佛手散)[1] /  전후풍(纏喉風)
불환금단(不換金丹) /  중풍(中風)구안와사(口眼喎斜)
비급단(備急丹) /  쌍유아(雙乳蛾)단유아(單乳蛾)인후폐쇄(咽喉閉鎖)
비전순기산(秘傳順氣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탄탄(癱瘓)
사성선정산(四聖旋疔散) /  정창(釘瘡)
삼미천장자산(三味天漿子散) /  만경풍(慢驚風)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천포창(天疱瘡)양매창(楊梅瘡)
상청백부자환(上淸白附子丸) /  목현(目眩)담궐두통(痰厥頭痛)
서근보안산(舒筋保安散) /  탄탄(癱瘓)중풍(中風)
성부산(星附散) /  탄탄(癱瘓)중풍(中風)
성비산(醒脾散) /  만경풍(慢驚風)
소독환(消毒丸) /  대두온(大頭瘟)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2] /  태한(胎寒)
소풍산(消風散)[1] /  부인혈풍(婦人血風)두풍(頭風)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어풍단(禦風丹)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반신불수(半身不遂)
연생단(延生丹) /  만경풍(慢驚風)
오간환(五癎丸) /  전간(癲癎)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1] /  일체풍질(一切風疾)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2] /  근맥구련(筋脈拘攣)유주(流注)
옥약시(玉鑰匙) /  급후비(急喉痺)
옥용서시산(玉容西施散) /  흑염정(黑靨疔)풍자(風刺)
온백환(溫白丸) /  만경풍(慢驚風)
용뇌파독산(龍腦破毒散) /  급후비(急喉痺)
우황정지환(牛黃定志丸) /  중풍(中風)혼모(昏冒)
웅사환(雄砂丸) /  제충(諸蟲)
이선산(二仙散)[1] /  급후비(急喉痺)전후풍(纏喉風)
일념금(一捻金) /  정저(疔疽)
일립금단(一粒金丹)[2] /  일체풍(一切風)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자전풍(紫癜風)
자초고(紫草膏)[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절풍환(截風丸) /  급경풍(急驚風)
조기익황산(調氣益黃散) /  제풍(臍風)촬구(撮口)
좌룡환(左龍丸) /  파상풍(破傷風)
주분산(朱粉散)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채명단(寨命丹) /  정창(釘瘡)변독(便毒)유옹(乳癰)
천궁산(川芎散)[3] /  편두통(偏頭痛)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옹저(癰疽)장옹(腸癰)유옹(乳癰)
천금산(千金散)[2] /  급경풍(急驚風)만경풍(慢驚風)
천선고(天仙膏) /  구안와사(口眼喎斜)졸중풍(卒中風)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탄탄(癱瘓)
철분산(鐵粉散) /  전광(癲狂)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청신산(淸神散) /  이중청(耳重聽)
청심도담환(淸心導痰丸) /  유연(流涎)
추풍거담환(追風祛痰丸) /  전간(癲癎)
추풍산(追風散)[1] /  편두풍(偏頭風)정두풍(正頭風)
축보환(丑寶丸) /  정충(怔忡)전간(癲癎)
치적백한반방(治赤白汗斑方) /  한진(汗疹)
탈명산(奪命散)[1] /  급후비(急喉痺)전후풍(纏喉風)
퇴풍산(退風散) /  파상풍(破傷風)
포옹환(抱甕丸) /  혈고(血蠱)귀태(鬼胎)
함화단(含化丹) /  이균(耳菌)
해어환(解語丸) /  어삽(語澁)중풍(中風)
호골산(虎骨散)[1] /  역절풍(歷節風)
호골산(虎骨散)[2] /  역절풍(歷節風)
호박산(琥珀散)[3] /  결핵(結核)나력(瘰癧)
화독산(化毒散) /  양매창(楊梅瘡)
회수산(回首散) /  항강(項强)
홍견(紅絹) / 붉은 명주
라틴명 Rubra Serica
약재의 효능 염창(斂瘡)  (창(瘡)을 아물고 수렴시키는 효능을 가리키는 용어임.)
성미 온(溫) , 함(鹹)
주의사항 홍람화 물을 들인 명주.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홍견잠(紅絹蠶) /  염창(臁瘡)
견(繭) / 누에나방
라틴명 Bombycis Globulus
약재의 효능 거풍해경(祛風解痙)  (풍(風)을 제거하고 경련을 푸는 효능임)
화담산결(化痰散結)  (담(痰)을 삭혀 뭉친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제회충(除蛔蟲)  (회충(蛔蟲)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소갈(止消渴)  (소갈(消渴)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위(胃) , 폐(肺)
성미 감(甘)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현령산(玄靈散) /  오발옹저(五發癰疽)정창(釘瘡)
마명퇴(馬鳴退) / 누에나방
라틴명 Bombycis Periostracum
약재의 효능 익부인(益婦人)  (부인(婦人)의 신체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성미 감(甘) , 평(平)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만잠아(晩蠶蛾) / 누에나방
라틴명 Bombycis Masculus Corpus
약재의 효능 보간익신(補肝益腎)  (간(肝)을 보하고 신(腎)의 기능을 더하는 효능임)
장양삽정(壯陽澁精)  (양기(陽氣)를 튼튼히 하고 정기(精氣)를 붙잡는 효능임)
난수장(暖水臟)
강음도(强陰道)  (음도(陰道)를 강하게 하는 효능임)
장양사(壯陽事)  (성기능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멸반흔(滅瘢痕)  (흉터나 반점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온(溫) , 함(鹹)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고진단(固眞丹) /  몽설(夢泄)유정(遺精)
금박환(金箔丸) /  백음(白淫)몽설(夢泄)
폐풍환(肺風丸) /  비사(鼻齄)
면견(綿繭) / 누에고치
라틴명 Bombycis Globulus Corpus
약재의 효능 제회충(除蛔蟲)  (회충(蛔蟲)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소갈(止消渴)  (소갈(消渴)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하고독(下蠱毒)  (독충의 독을 아래로 내려주어 풀어주는 효능임)
유기부(柔肌膚)  (기육(肌肉)과 피부(皮膚)를 부드럽게 하는 효능임)
성미 감(甘) , 온(溫)
약재사용처방 면견산(綿繭散) /  두후옹절(痘後癰癤)
아견각(蛾繭殼) / 누에고치
라틴명 Bombycis Periostracum
약재의 효능 제회충(除蛔蟲)  (회충(蛔蟲)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소갈(止消渴)  (소갈(消渴)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하고독(下蠱毒)  (독충의 독을 아래로 내려주어 풀어주는 효능임)
유기부(柔肌膚)  (기육(肌肉)과 피부(皮膚)를 부드럽게 하는 효능임)
성미 감(甘)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투농산(透膿散) /  부골저(附骨疽)옹저(癰疽)
원잠아(原蠶蛾) / 누에나방
라틴명 Bombycis Corpus
약재의 효능 보간익신(補肝益腎)  (간(肝)을 보하고 신(腎)의 기능을 더하는 효능임)
장양삽정(壯陽澁精)  (양기(陽氣)를 튼튼히 하고 정기(精氣)를 붙잡는 효능임)
난수장(暖水臟)
강음도(强陰道)  (음도(陰道)를 강하게 하는 효능임)
장양사(壯陽事)  (성기능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멸반흔(滅瘢痕)  (흉터나 반점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온(溫) , 함(鹹)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양기석원(陽起石元) /  정랭무자(精冷無子)
원잠아(原蠶蛾)[2] /  음위(陰痿)
잠견(蠶繭) / 누에고치
라틴명 Bombycis Globulus Corpus
약재의 효능 제회충(除蛔蟲)  (회충(蛔蟲)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소갈(止消渴)  (소갈(消渴)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하고독(下蠱毒)  (독충의 독을 아래로 내려주어 풀어주는 효능임)
유기부(柔肌膚)  (기육(肌肉)과 피부(皮膚)를 부드럽게 하는 효능임)
성미 감(甘) , 온(溫)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잠견산(蠶繭散) /  나력(瘰癧)
잠사(蠶砂) / 누에 똥
라틴명 Bombycis Excrementum
약재의 효능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정통(定痛)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성미 감신(甘辛) , 온(溫)
약전기재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잠사(蠶沙) /  풍비(風痺)탄탄(癱瘓)
잠퇴(蠶退) / 누에의 탈피각
라틴명 Bombycis Ovi Periostracum
약재의 효능 익부인(益婦人)  (부인(婦人)의 신체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명목거예(明目去翳)  (눈을 밝게 해주고 예막(瞖膜)을 제거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성미 감(甘) , 평(平)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오퇴산(五退散)[1] /  내장(內障)
오퇴산(五退散)[2] /  도첩권모(倒睫拳毛)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잠퇴지(蠶退紙) / 누에가 알을 깐 종이
라틴명 Bombycis Ovi Periostracum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성미 평(平)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벽력단(霹靂丹) /  난산(難産)자간(子癎)
삼퇴음(三退飮) /  포의불하(胞衣不下)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9] /  초생소변불통(初生小便不通)
이퇴산(二退散) /  난산(難産)
잠퇴지(蠶退紙)[1] /  붕루(崩漏)대하(帶下)
잠퇴지(蠶退紙)[2] /  광간(狂癎)사수(邪祟)
잠퇴지(蠶退紙)[3] /  고독(蠱毒)
통치백물독일방(通治百物毒一方)[7] /  제반중독(諸般中毒)
해백물독일방(解百物毒一方)[4] /  백물독(百物毒)
황견(黃絹) / 누에의 황색 분비물로 짠 명주
라틴명 Bombycis Series Flava
약재의 효능 보간익신(補肝益腎)  (간(肝)을 보하고 신(腎)의 기능을 더하는 효능임)
장양삽정(壯陽澁精)  (양기(陽氣)를 튼튼히 하고 정기(精氣)를 붙잡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온(溫) , 함(鹹)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십회환(十灰丸) /  실혈(失血)
오회산(五灰散) /  혈붕(血崩)실혈(失血)
황사견(黃絲絹) / 누에의 황색 분비물로 짠 명주
라틴명 Bombycis Series Flava
약재의 효능 보간익신(補肝益腎)  (간(肝)을 보하고 신(腎)의 기능을 더하는 효능임)
장양삽정(壯陽澁精)  (양기(陽氣)를 튼튼히 하고 정기(精氣)를 붙잡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신(腎)
성미 온(溫) , 함(鹹)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보포음(補胞飮) /  산후유뇨(産後遺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