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9~10월 |
키 | 60c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들과 산기슭의 건조한 곳 | 성미 | 차며, 맵고 쓰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ㆍ분주 | 1회사용량 | 꽃ㆍ뿌리줄기 2~4g |
약효 | 꽃ㆍ뿌리줄기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부채붓꽃 |
잎
길이 30~50cm, 나비 5~10mm로서 가늘고 긴 칼 모양의 잎이 떨기로 나와 곧추서는데 도드라진 맥이 없으며 밑 부분이 잎집처럼 되고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 잎몸은 녹색에다 분백색을 약간 띠는데 창포와 비슷하나 잎맥이 돋아 있지 않고 앞뒤의 구별이 없는 점이 다르다.
꽃
5~6월에 아름다운 무늬가 있는 육판화가 푸른빛이 도는 짙은 자주색으로 꽃줄기 끝에 2~3개씩 달리는데 안쪽에서 흰색ㆍ노란색ㆍ갈색ㆍ자주색이 차례로 무늬를 이루어 핀다. 꽃의 지름은 5~8cm이다. 녹색인 꽃턱잎이 잎처럼 생겼는데 작은 꽃턱잎이 꽃턱잎보다 긴 것도 있다. 작은 꽃자루는 작은 꽃턱잎보다 짧고 씨방보다 길다. 꽃잎은 6장으로 되어 있다. 바깥 꽃덮이는 넓은 거꿀달걀꼴이며 밑 부분에 옆으로 달리는 자줏빛 맥이 있다. 안쪽 꽃덮이는 곧게 선다.
열매
9~10월에 검게 윤이 나는 삭과가 거꿀달걀꼴의 타원형으로 달려 익는데 3개의 능선이 있다. 다 익은 열매의 끝이 터지면서 갈색의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계손(溪蓀)ㆍ수창포(水菖蒲)ㆍ창포붓꽃이라고도 한다. 붓꽃이라는 이름은 꽃봉오리가 벌어지기 전의 모습이 붓과 유사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뿌리줄기가 땅 위로 뻗으면서 새싹이 나고 잔뿌리가 많이 내린다. 줄기는 뭉쳐나와 곧게 자라는데 원기둥 모양이고 밑 부분에 붉은 갈색의 섬유가 있다. 건조에 강하고 햇빛을 좋아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피부과 질환을 다스리며, 주독을 풀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