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Forsythiae Fructus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산결(散結)
(맺힌 것을 푸는 효능임)
|
|
투사(透邪)
(표사(表邪)를 없애는[透達] 방법임)
|
|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이수(利水)
(수(水)를 원활하게 빼는 효능임)
|
|
통소장(通小腸)
(소장의 기운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거백충(去白蟲)
(모든 기생충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청화산결(淸火散結)
|
작용부위 |
소장(小腸)
, 심(心)
, 폐(肺)
|
성미 |
고(苦)
, 미한(微寒)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독성 |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1) List, P.H. and Horhammer, L., Hager,s Handbuch der Pharmazeutischen Praxis, Vols. 2 to 6, Springer-Verlag, Berlin, 1969-1979.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식상(食傷)
, 숙식(宿食)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6] /
소양중풍(少陽中風)
, 지절통(肢節痛)
|
|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
상초열(上焦熱)
, 육경열(六經熱)
|
|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
|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양매창(楊梅瘡)
|
|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
|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치(痔)
|
|
가미소독음(加味消毒飮) /
탑시종(搭顋腫)
|
|
가미통심음(加味通心飮) /
퇴산(㿉疝)
|
|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
|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혼모(昏冒)
, 풍중장(風中臟)
|
|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
귀규탕(歸葵湯) /
유루(流淚)
|
|
금련소독음(芩連消毒飮) /
대두온(大頭瘟)
|
|
기제해독탕(旣濟解毒湯) /
대두온(大頭瘟)
|
|
난향음자(蘭香飮子) /
소갈(消渴)
|
|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내저(內疽)
, 위완옹(胃脘癰)
, 두옹(肚癰)
|
|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
|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옹저(癰疽)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
내탁승마탕(內托升麻湯) /
악창(惡瘡)
, 유옹(乳癰)
|
|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오발옹저(五發癰疽)
|
|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아주공(牙蛀孔)
|
|
대안환(大安丸) /
식적(食積)
|
|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
|
독활탕(獨活湯)[2] /
노역요통(勞役腰痛)
|
|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이내생창(耳內生瘡)
, 농이(膿耳)
|
|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
위완옹(胃脘癰)
, 내저(內疽)
|
|
박하단(薄荷丹) /
나력(瘰癧)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
|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
비옹(臂癰)
|
|
백지탕(白芷湯) /
풍치(風齒)
, 위열치통(胃熱齒痛)
|
|
백화사환(白花蛇丸) /
백라창(白癩瘡)
|
|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
, 내장(內障)
|
|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
|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
대두온(大頭瘟)
|
|
보중승독병(補中勝毒餠)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
, 적취(積聚)
|
|
보화환(保和丸)[3]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
사심탕(瀉心湯)[2] /
심옹(心癰)
|
|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삼화탕(三和湯)[1] /
혈폐(血閉)
, 열결(熱結)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서각탕(犀角湯) /
결양(結陽)
|
|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서점자탕(鼠粘子湯)[1] /
농이(膿耳)
|
|
서점자탕(鼠粘子湯)[2] /
두출과밀(痘出過密)
|
|
선열단(宣熱丹) /
풍열(風熱)
, 나력(瘰癧)
|
|
선전화독탕(仙傳化毒湯) /
무명종독(無名腫毒)
, 유옹(乳癰)
, 내저(內疽)
, 발배(發背)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풍열(風熱)
, 안목적종(眼目赤腫)
|
|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
|
소독탕(消毒湯)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소서각환(小犀角丸) /
나력(瘰癧)
|
|
소종탕(消腫湯) /
마도창(馬刀瘡)
|
|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
|
소해산(消解散) /
후균(喉菌)
, 후류(喉瘤)
|
|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내저(內疽)
, 배옹(背癰)
, 오발옹저(五發癰疽)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상한섬어(傷寒譫語)
, 발열(發熱)
|
|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
발저(發疽)
|
|
시호총이탕(柴胡聰耳湯) /
정이(聤耳)
, 이롱(耳聾)
|
|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
|
시호통경탕(柴胡通經湯) /
마도창(馬刀瘡)
|
|
신기산(神奇散)[2] /
변옹(便癰)
|
|
십수환(十水丸) /
십종수기(十種水氣)
|
|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
|
아위환(阿魏丸)[2] /
식적(食積)
, 육적(肉積)
|
|
양격산(凉膈散) /
적열(積熱)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
|
양혈해독환(凉血解毒丸) /
하감창(下疳瘡)
|
|
연교(連翹)[1] /
심열(心熱)
|
|
연교산(連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
|
연교산견탕(連翹散堅湯)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연교승마탕(連翹升麻湯) /
두출과밀(痘出過密)
|
|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
|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
|
오향연교탕(五香連翹湯) /
옹저(癰疽)
|
|
우방금련탕(牛蒡芩連湯) /
대두온(大頭瘟)
|
|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
|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
|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
|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1] /
폐실열(肺實熱)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2] /
열수(熱嗽)
|
|
인삼화영단(人蔘化癭丹) /
영류(瘿瘤)
|
|
입응산(立應散)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
|
작약탕(芍藥湯)[2] /
구창(口瘡)
|
|
적소두탕(赤小豆湯) /
수종(水腫)
, 창개(瘡疥)
|
|
전설고(轉舌膏)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울담(鬱痰)
, 노담(老痰)
|
|
정통산(定痛散)[1] /
아주공(牙蛀孔)
|
|
좌비환(佐脾丸) /
식적(食積)
|
|
창이산(蒼耳散)[3] /
아장선(鵝掌癬)
|
|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내저(內疽)
, 정창(釘瘡)
, 발배(發背)
|
|
천금소독산(千金消毒散) /
정창(釘瘡)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1] /
열담(熱痰)
|
|
청량산(淸凉散)[2] /
인후종통(咽喉腫痛)
, 실화(實火)
|
|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절풍(癤風)
, 두면창(頭面瘡)
|
|
청심탕(淸心湯) /
상초열(上焦熱)
|
|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 /
창양양증(瘡瘍陽證)
|
|
청열여성산(淸熱如聖散) /
설종(舌腫)
|
|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청위탕(淸胃湯) /
아상종통(牙床腫痛)
, 치근동요(齒根動搖)
|
|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
유아(乳蛾)
, 후폐(喉閉)
|
|
청폐음자(淸肺飮子) /
비사(鼻齄)
|
|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치소변적삽방(治小便赤澁方) /
소변적삽(小便赤澁)
|
|
탁리황기탕(托裏黃芪湯)[2] /
부골저(附骨疽)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통심음(通心飮) /
선라풍(旋螺風)
|
|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
구안와사(口眼喎斜)
, 유연(流涎)
|
|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
|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
|
파혈산동탕(破血散疼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
|
파혈소통탕(破血消痛湯)>동의보감((東醫寶鑑) /
낙상(落傷)
|
|
해독탕(解毒湯)[1] /
장독(臟毒)
|
|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
실음(失音)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1] /
이롱(耳聾)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
|
호박산(琥珀散)[3] /
나력(瘰癧)
, 결핵(結核)
|
|
환골산(換骨散) /
천포창(天疱瘡)
|
|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
|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배(發背)
, 발뇌(發腦)
, 마목(麻木)
|
|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
|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2] /
번조(煩躁)
, 대열(大熱)
|
|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