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실(楮實) / 꾸지나무

동의보감에서 "저실(楮實) / 꾸지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저실(楮實) / 꾸지나무 열매
라틴명 |
Broussonetiae Fructus |
약재의 효능 |
자신(滋腎)
(신(腎)을 기르는 효능임)
|
|
청간(淸肝)
(간(肝)의 열(熱)을 식혀주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연견(軟堅)
(대변(大便)이나 종괴(腫塊) 등의 딱딱하게 굳은 것을 무르게 해주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열안색(悅顔色)
(안색(顔色)을 윤택하고 밝게 하는 효능임)
|
|
소수종(消水腫)
(부종(浮腫)을 가라앉히는 효능임)
|
|
장근골(壯筋骨)
(근골(筋骨)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
|
보허로(補虛勞)
(허로(虛勞)를 보(補)하여 치료하는 방법임.)
|
|
건요슬(健腰膝)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임)
|
|
조양기(助陽氣)
(양기(陽氣)를 도와주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불기(不饑)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신(腎)
|
성미 |
감(甘)
, 한(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약재사용처방 |
오수중명환(五秀重明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목은삽(目隱澁)
|
|
환소단(還少丹) /
음위(陰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