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Haliotidis Concha |
약재의 효능 | 청간명목(淸肝明目) (간(肝)을 식혀주며 눈을 맑게해주는 효능임) |
평간잠양(平肝潛陽) (간장(肝臟)의 기운을 조화롭게 유지하여 비정상적으로 부월(浮越)하는 양사(陽邪)를 잠재우는 효능임) | |
거예(去翳) (예(翳)를 제거하는 효능임) | |
자음(滋陰) (음기(陰氣)를 기르는 효능임) | |
통오림(通五淋) (오림(五淋)을 소통시켜 소변이 잘 나가게 하는 효능임) | |
해주산(解酒酸) | |
청내풍간열(淸內風肝熱) (내풍(內風)을 인한 간열(肝熱)을 식혀주는 효능임) | |
보음명목(補陰明目) (음기(陰氣)를 보하여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성미 | 한(寒) , 함(鹹)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
결명산(決明散) / 안목적종(眼目赤腫) , 예막(翳膜) | |
결명원(決明元)[1] / 예막차정(藝膜遮睛) | |
결명원(決明元)[2]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공청원(空靑元) / 침예(沈翳) | |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 안목혼암(眼目昏暗) | |
대명부광산(大明復光散) / 예막(翳膜) , 내장(內障) | |
마광산(磨光散) / 풍안(風眼) , 예장(翳障) | |
사성산(四聖散)[1] / 나력(瘰癧) | |
삼화오자환(三花五子丸) / 안화(眼花) , 예장(翳障) | |
석결명(石決明) / 예장(翳障) , 청맹(靑盲) | |
석결명산(石決明散)[1] / 해정(蟹睛) , 선라풍(旋螺風) | |
석결명산(石決明散)[2] / 정예(釘翳) | |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연백익음환(連柏益陰丸) / 예막(翳膜) | |
영양각환(羚羊角丸) / 녹풍내장(綠風內障) | |
점누정농출약(點漏睛膿出藥) / 누정(漏睛) | |
추예환(墜翳丸)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퇴운산(退雲散) / 예막(翳膜) | |
환정환(還睛丸)[1] / 고풍작목(高風雀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