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halcanthitum |
약재의 효능 |
용토풍열담연(涌吐風熱痰涎)
(풍열(風熱)과 담연(痰涎)을 토(吐)해내게 하는 효능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수렴(收斂)
(넓게 펼쳐진 기운을 안으로 모으는 것을 말하는 것임)
|
|
익음살충(益陰殺蟲)
|
|
염해역(斂咳逆)
|
|
토풍담(吐風痰)
(풍담을 토해내는 효능임)
|
|
제홍(制汞)
|
|
화오금(化五金)
|
작용부위 |
담(膽)
|
성미 |
산신(酸辛)
, 소독(小毒)
, 한(寒)
|
약재사용처방 |
거연방(去涎方) /
후비(喉痺)
|
|
금쇄시(金鎖匙) /
전후풍(纏喉風)
, 급후폐(急喉閉)
|
|
담반(膽礬)[1] /
구창(口瘡)
|
|
담반(膽礬)[2] /
아주공(牙蛀孔)
|
|
담반산(膽礬散)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후비(喉痺)
|
|
무운산(巫雲散) /
수발황락(鬚髮黃落)
|
|
반혼단(返魂丹) /
정창(釘瘡)
|
|
연연진인탈명단(淵然眞人奪命丹) /
발배(發背)
, 정창(釘瘡)
, 음저(陰疽)
|
|
이선산(二仙散)[1] /
전후풍(纏喉風)
, 급후비(急喉痺)
|
|
일념금(一捻金) /
정저(疔疽)
|
|
자금단(紫金丹)[3] /
곡달(穀疸)
|
|
채명단(寨命丹) /
정창(釘瘡)
, 변독(便毒)
, 유옹(乳癰)
|
|
천금산(千金散)[1] /
양매창(楊梅瘡)
|
|
청룡담(靑龍膽) /
쌍유아(雙乳蛾)
, 단유아(單乳蛾)
|
|
취이산(吹耳散) /
풍열이롱(風熱耳聾)
|
|
취후산(吹喉散)[1] /
단유아(單乳蛾)
, 쌍유아(雙乳蛾)
|
|
취후산(吹喉散)[2] /
현옹(懸癰)
|
|
치도생독일방(治挑生毒一方)[1] /
도생독(挑生毒)
|
|
치악창살충방(治惡瘡殺蟲方)[1] /
악창유충(惡瘡有蟲)
|
|
치약고자(痔藥膏子) /
번화치(飜花痔)
|
|
칠보산(七寶散) /
단유아(單乳蛾)
, 후폐(喉閉)
, 쌍유아(雙乳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