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여름~가을 |
키 | 20~4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기슭의 양지 | 성미 | 차며, 달다.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ㆍ분주 | 1회사용량 | 10~12g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제비꽃ㆍ콩제비꽃ㆍ낚시제비꽃ㆍ흰제비꽃ㆍ왜제비꽃의 온포기 |
잎
어긋나는데 삼각형 비슷한 심장 모양으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은 심장 밑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 위쪽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다. 턱잎은 긴 타원형이고 빗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
5~6월에 원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5~10cm의 꽃대가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한 송이씩 옆을 향해 달린다. 꽃턱잎은 선형이며 꽃대 위쪽에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녹색이며 길이 7~10mm이다. 부속체는 짧고 반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오그라들고 끝이 오목하다. 크기가 다른 5장의 꽃잎은 길이 8~10mm이고 옆 꽃잎 안쪽에 수염털이 있으며 상투의 길이는 3~4mm이다.
열매
7~8월에 길이 8~10mm인 타원형의 삭과가 달려 익는다.
특징 및 사용
졸방이ㆍ졸방나물ㆍ고경근이라고도 한다. 제비꽃 종류 중에서 드물게 줄기가 곧게 서는데 한자리에서 여러 대의 줄기가 무더기로 나와 포기를 형성한다. 전체에 털이 다소 있다. 유사종으로 털이 꽃잎 안쪽에만 있는 것을 민졸방제비꽃이라 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한다. 온포기를 주변강이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누락)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ㆍ신장 질환을 다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