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골피(地骨皮) / 구기자나무

 익생양술에서 "구기자나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지골피(地骨皮) / 구기자나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여름~가을
4m 정도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마을 부근이나 길가에 재배 성미 평온하며, 달다.
분류 낙엽 활엽 관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씨ㆍ꺾꽂이 1회사용량 잎ㆍ줄기ㆍ뿌리 3~8g, 열매 3~6g
약효 잎ㆍ줄기ㆍ열매ㆍ뿌리ㆍ나무껍질 사용범위 많이 쓰면 이롭지 않다.
어긋나며 위쪽에서 3~6개씩 뭉쳐난다. 길이 2~4cm의 달걀꼴 또는 달걀을 닮은 댓잎피침형으로서 털은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밑이 좁아져서 잎자루를 이루는데 잎자루의 길이는 1cm 정도이다.
6~9월에 지름이 1.5cm 정도 되는 오판화가 보랏빛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1~4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톱 모양으로 끝이 얕게 갈라진다.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이며 끝이 5갈래로 갈라져 꽃잎이 수평으로 퍼진다. 수술은 5개이며 밑 부분에 털이 있고, 암술은 1개인데 수술과 함께 길게 꽃 밖으로 뻗어나 있다.
열매
8~10월에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둥근 장과가 달려 붉게 익는데 작은 고추 비슷하게 생겼다. 길이는 10mm, 지름은 5mm 정도이다. 처음에는 달콤하나 나중에는 쓴맛을 낸다. 열매에는 10개 정도의 씨가 들어 있는데 지름이 2mm 정도인 씨는 편평하고 콩팥 모양이며 황백색이다.
특징 및 사용
구기자ㆍ구기ㆍ구계(枸繼)ㆍ고기(苦杞) ㆍ각로(却老)ㆍ선인장(仙人杖)ㆍ지선(地仙)이라고도 한다. 열매의 모양과 색깔이 예쁘고 작아서 고서에서는 괴좃나무여름이라고도 하였다. 충남 청양산이 유명하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고 가늘며 가지가 자라서 덩굴 모양으로 아래로 늘어진다. 흔히 짧은 가지가 가시로 변하기도 하나 없는 것도 있다. 뿌리껍질을 지골피(地骨皮), 열매를 구기자, 잎을 지골엽(地骨葉)이라 한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열매와 함께 차를 달여 마시기도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그기도 한다. 뿌리와 나무껍질은 감초탕에 담가 말려 썰어서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신경계ㆍ신진대사를 다스리며, 건강 생활에 효험이 있다.
지골피(地骨皮) / 구기자나무
라틴명 Lycii Radicis Cortex
약재의 효능 청폐강화(淸肺降火)  (폐기를 맑게 하고 화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임)
양혈제증(凉血除蒸)  (혈(血)을 맑게 하여 열을 내리는 효능임)
퇴허열(退虛熱)  (허열을 제거하는 효능임)
화위(和胃)  (위기(胃氣)를 조화시킬 때 쓰는 방법을 말함)
거포중화(去胞中火)  (포(胞)속의 화(火)를 제거하는 효능임)
보정기(補正氣)  (정기(精氣)를 보하는 효능임)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제유황(制硫黃)
작용부위 간(肝) , 신(腎) , 폐(肺)
성미 감(甘) , 한(寒)
약전기재 원색화한약도감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근피
독성 Adverse effects may include nausea and vomiting. The LD50 in mice is 12.83 +/- 1.9 g/kg (I.p.); in dogs, the LD50 is 120 g/kg (by stomach) or 30 g/kg (I.p.).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약재사용처방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1] /  폐열후성(肺熱喉腥)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2] /  해수(咳嗽)천촉(喘促)화천(火喘)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3] /  수천(水喘)
가감소요산(加減逍遙散) /  조열(潮熱)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2] /  혈허(血虛)도한(盜汗)담수(痰嗽)조열(潮熱)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장(風中臟)풍중부(風中腑)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냉보환(冷補丸) /  신허요통(腎虛腰痛)이롱(耳聾)
노성고(露星膏) /  척감(脊疳)
녹용환(鹿茸丸) /  신허(腎虛)소갈(消渴)
당귀고(當歸膏) /  칠상(七傷)오로(五勞)허손(虛損)
대건중탕(大建中湯) /  소복급통(小腹急痛)허로(虛勞)
대오보환(大五補丸) /  심허(心虛)
문동음자(門冬飮子) /  소갈(消渴)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백출제습탕(白朮除濕湯) /  중초열(中焦熱)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내장(內障)
보명생지황산(保命生地黃散) /  변혈(便血)육혈(衄血)요혈(尿血)토혈(吐血)
보진탕(保眞湯) /  골증(骨蒸)조열(潮熱)유정(遺精)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사백산(瀉白散) /  폐기상역(肺氣上逆)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산정환(山精丸) /  습담(濕痰)
삼령원(蔘苓元) /  식역증(食㑊症)
삼출조중탕(蔘朮調中湯) /  열수(熱嗽)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천포창(天疱瘡)
생서산(生犀散) /  골증(骨蒸)
서점자탕(鼠粘子湯)[2] /  두출과밀(痘出過密)
세독산(洗毒散) /  악창(惡瘡)음식창(陰蝕瘡)
세약(洗藥) /  대풍창(大風瘡)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시향산(柴香散) /  비괴(痞塊)징가(癥瘕)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시호지골피탕(柴胡地骨皮湯) /  구미(口糜)
신력탕(腎瀝湯) /  신장풍(腎臟風)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예막(翳膜)내장(內障)외장(外障)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  구설생창(口舌生瘡)심열(心熱)
야광육신환(夜光育神丸) /  노인안혼(老人眼昏)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수발조백(鬚髮早白)
염기산(斂肌散) /  두후옹절(痘後癰癤)
오보원(五補元) /  허로(虛勞)
오증환(五蒸丸) /  골증(骨蒸)
옥지산(玉池散) /  골조풍(骨槽風)풍치(風齒)
용뇌안신환(龍腦安神丸) /  오간(五癎)
응신산(凝神散) /  열중(熱中)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인삼지골피산(人蔘地骨皮散) /  폐열(肺熱)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실음(失音)담수(痰嗽)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  노수(勞嗽)폐위(肺痿)
인삼평폐산(人蔘平肺散) /  폐위(肺痿)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2] /  잡병대맥(雜病代脈)
자완탕(紫菀湯)[1] /  변혈(便血)해역상기(咳逆上氣)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자음지황환(滋陰地黃丸)[1] /  목혼(目昏)혈소신로(血少神勞)신허(腎虛)
장천사초환단(張天師草還丹) /  수발황락(鬚髮黃落)
쟁공산(爭功散) /  열학(熱瘧)
지골피(地骨皮)[1] /  골열(骨熱)
지골피(地骨皮)[2] /  골증(骨蒸)
지골피(地骨皮)[3] /  소갈(消渴)
지골피산(地骨皮散)[1] /  혈열(血熱)
지골피산(地骨皮散)[2] /  골증(骨蒸)
지골피산(地骨皮散)[3] /  허열(虛熱)
지선산(地仙散) /  골증(骨蒸)
진조산(津調散) /  하감창(下疳瘡)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 /  격소(膈消)
청폐자음산(淸肺滋陰散) /  후옹(喉癰)음허화동(陰虛火動)
치개선세약(治疥癬洗藥)[1] /  개선(疥癬)
치대풍창세약(治大風瘡洗藥) /  대풍창(大風瘡)
치양매창세약방(治楊梅瘡洗藥方)[1] /  양매창(楊梅瘡)
치치뉵우방(治齒衄又方)[4] /  치뉵(齒衄)
치하감창일방(治下疳瘡一方)[2] /  하감창(下疳瘡)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건수(乾嗽)건해(乾咳)성아(聲啞)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하간생지황산(河間生地黃散) /  객혈(喀血)타혈(唾血)육혈(衄血)토혈(吐血)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두출과밀(痘出過密)장열(壯熱)성아(聲啞)
해면독일방(解麵毒一方) /  면독(麵毒)
해울탕(解鬱湯) /  육혈(衄血)
환원추석환(還元秋石丸) /  수발조백(鬚髮早白)
환정환(還睛丸)[3] /  안병(眼病)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노손(勞損)허로(虛勞)
황기산(黃芪散) /  누정(漏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