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에서 "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나복(蘿蔔)/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나복근(蘿蔔根)/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나복자(蘿蔔子)/무 씨"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5~6월(씨), 연중(뿌리)
20~100cm 취급요령 날것으로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평온하며, 맵고 달다.
분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뿌리(무)ㆍ생즙 50~100g, 씨 4~6g
약효 뿌리ㆍ씨 사용범위 많이 먹을수록 몸에 이롭다.
대개 깃털 모양의 잎이 뿌리에서 더부룩이 무리 지어 솟아 뭉쳐나며 1회 깃꼴겹잎인데 잎자루가 있고 보통 거친 털이 나 있으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잎몸은 주걱 모양에서부터 1~12쌍의 작은 조각으로 깊게 갈라진 것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4~5월에 엷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사판화가 십자형으로 배열되어 피는데 꽃줄기 끝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줄기는 길이 1m 정도까지 자란 다음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 꽃차례가 발달하고 작은 꽃대가 있다. 꽃잎은 거꾸로 된 넓은 달걀 모양의 쐐기꼴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꽃받침 조각은 선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암술은 1개이고 수술은 6개 중 2개가 짧다.
열매
5월에 길이 5cm 정도의 길쭉한 폐과(閉果)가 달리는데 꼬투리에 잘록하게 들어간 곳이 있으며 꼬투리마다 볼록해진 부분에 1개씩 2~4개의 적갈색 씨가 들어 있다. 꼬투리는 익어도 갈라지지 않는다.
특징 및 사용
나복(蘿蔔)ㆍ내복(萊菔)ㆍ노복(蘆菔)ㆍ청근(菁根)이라고도 한다. 배추ㆍ고추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채소 중의 하나이다. 줄기의 밑 부분과 이것에 이어진 원뿌리가 비대해진 것이 무이다. 희고 살이 많아 잎과 함께 많이 쓰이는 중요한 채소이다. 우리가 김치나 깍두기용 무로 흔히 쓰는 재래종은 길이 20cm, 지름이 7~8cm이며 무게는 800~900g이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무에는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에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무즙에는 디아스타제라는 효소가 있어 소화를 촉진시킨다. 약으로 쓸 때는 씨는 탕으로 하고 무(뿌리)는 생식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ㆍ지황(생지황ㆍ건지황ㆍ숙지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 생활에 유익하다.
나복(蘿蔔) / 무
라틴명 Raphani Radix
약재의 효능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화담열(化痰熱)  (담(痰)으로 인한 열(熱)을 삭히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행풍(行風)
거열(去熱)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방법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이안색(理顔色)  (얼굴빛을 좋게 하는 효능임)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관흉격(寬胸膈)  (흉격(胸膈)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제면독(制面毒)  (밀가루 음식으로 탈이 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복요사(伏硇砂)  (요사(硇砂)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임)
살어성기(殺魚腥氣)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는 효능임)
소식화담(消食化痰)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신감(辛甘) , 양(凉)
주의사항 복약 중에 하수오(何首烏), 지황(地黃)을 먹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금화선방(噙化仙方) /  폐위(肺痿)해역상기(咳逆上氣)
나복(蘿蔔)[2] /  편두통(偏頭痛)
나복(蘿蔔)[3] /  주치(酒痔)
나복근(蘿蔔根) /  장창(杖瘡)
나복즙(蘿蔔汁)[1] /  해혈(咳血)육혈(衄血)토혈(吐血)혈담(血痰)
나복즙(蘿蔔汁)[2] /  수곡불하(水穀不下)후비(喉痺)
백나복(白蘿蔔) /  구리(久痢)
사즙고(四汁膏) /  열수(熱嗽)
전진환(全眞丸)[1] /  삼초옹체(三焦壅滯)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팔선고(八仙膏) /  열식(噎食)
해두부독일방(解豆腐毒一方) /  두부독(豆腐毒)
해면독일방(解麵毒一方) /  면독(麵毒)
해연훈방(解烟熏方) /  연기중독(煙氣中毒)
현상고(玄霜膏) /  객혈(喀血)토혈(吐血)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1] /  객혈(喀血)토혈(吐血)타혈(唾血)해혈(咳血)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2] /  노수(勞嗽)타혈(唾血)객혈(喀血)
나복근(蘿蔔根) / 무
라틴명 Raphani Radix
약재의 효능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화담열(化痰熱)  (담(痰)으로 인한 열(熱)을 삭히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행풍(行風)
거열(去熱)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방법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이안색(理顔色)  (얼굴빛을 좋게 하는 효능임)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관흉격(寬胸膈)  (흉격(胸膈)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제면독(制面毒)  (밀가루 음식으로 탈이 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복요사(伏硇砂)  (요사(硇砂)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임)
살어성기(殺魚腥氣)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는 효능임)
소식화담(消食化痰)
작용부위 위(胃) , 폐(肺)
성미 신감(辛甘) , 양(凉)
주의사항 복약 중에 하수오(何首烏), 지황(地黃)을 먹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웅황고(雄黃膏)[2] /  상풍(傷風)
나복자(蘿蔔子) / 무 씨
라틴명 Raphani Semen
약재의 효능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정천(定喘)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제비(除痺})  (비(痞)를 제거하는 효능임)
도체(導滯)  (체한 것을 내려가게 하는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임.)
제창(除脹)  (배가 불러오르는 창(脹)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소종독(消腫毒)  (헌데나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임)
발창진(發瘡疹)  (창진(瘡疹)을 체표로 빨리 드러나게 하는 효능임)
이대소변(利大小便)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신감(辛甘) , 평(平)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주의사항 허약한 사람은 신중하게 써야 함.
약재사용처방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숙식(宿食)식상(食傷)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위심통(胃心痛)
갈환자(褐丸子) /  감창(疳脹)
금령자환(金鈴子丸) /  퇴산(㿉疝)음란편추(陰卵偏墜)
나복자(蘿蔔子)[1] /  식적담수(食積痰嗽)
나복자(蘿蔔子)[2] /  창만(脹滿)
대나조환(大蘿皂丸) /  담천(痰喘)기천(氣喘)
대안환(大安丸) /  식적(食積)
도기기각환(導氣枳殼丸) /  심흉비통(心胸痞痛)기역(氣逆)
목통산(木通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목향소창원(木香消脹元) /  창만(脹滿)적취(積聚)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1] /  기통(氣痛)
보화환(保和丸)[1] /  비괴(痞塊)적취(積聚)
보화환(保和丸)[2] /  주적(酒積)식적(食積)
보화환(保和丸)[3] /  주적(酒積)식적(食積)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적취(積聚)창만(脹滿)
삼릉전원(三稜煎元)[2] /  육적(肉積)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삼자양친탕(三子養親湯) /  기수(氣嗽)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난현풍(爛弦風)도첩권모(倒睫拳毛)내장(內障)외장(外障)
소고탕(消蠱湯) /  고창(蠱脹)
소나조환(小蘿皂丸) /  구천(久喘)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소창원(消脹元) /  창만(脹滿)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수풍윤장환(搜風潤腸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아위환(阿魏丸)[1] /  식적(食積)육적(肉積)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연라환(連蘿丸) /  조잡(嘈雜)비괴(痞塊)현훈(眩暈)
오초천련환(五炒川練丸) /  산(疝)
오통고(五通膏) /  촬구(撮口)제풍(臍風)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조각산(皂角散) /  졸중풍(卒中風)담색(痰塞)
좌비환(佐脾丸) /  식적(食積)
천련산(川練散) /  목신(木腎)분돈(奔豚)
청금환(淸金丸)[3] /  효천(哮喘)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담음(痰飮)주적(酒積)식적(食積)
침향음(沈香飮)[2] /  복창(腹脹)
퇴종탑기산(退腫塌氣散) /  수종(水腫)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탄산(呑酸)
필징가원(蓽澄茄元) /  곡창(穀脹)기창(氣脹)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오적(五積)
향부환(香附丸) /  식적수(食積嗽)
황금이격환(黃芩利膈丸) /  열담(熱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