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강(白薑) / 생강

 익생양술에서 "생강"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백강(白薑) / 생강"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경기도 이남 채취기간 9~10월(서리 내리기 전)
30~50cm 취급요령 날것 또는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덩이줄기(뿌리) 1회사용량 덩이줄기 3~6g
약효 덩이줄기 사용범위 오래 써도 해롭지 않다.
잎은 줄기의 위쪽에 두 줄로 어긋나며 배열된다. 잎몸은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양 끝이 좁으며 밑 부분이 긴 잎집으로 되어 있는데 마치 대나무 잎처럼 생겼다.
온대지방인 우리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더운 열대지방에서는 8월경에 잎집에 싸인 길이 20~25cm의 꽃줄기 끝에 여러 개의 꽃턱잎에 둘러싸인 녹색 또는 황록색의 잔꽃이 수상 꽃차례로 달려 핀다. 꽃은 꽃턱잎 사이에서 나오고 길이는 4~7.6cm이다. 꽃받침은 짧은 통 모양을 하고 있다. 꽃부리의 끝은 3개로 갈라졌으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다. 씨방은 하위이고 암술대는 실처럼 가늘다.
열매
8~9월에 삭과가 달리나 보기가 매우 힘들다.
특징 및 사용
새앙ㆍ새양ㆍ생이라고도 한다. 땅 속에서 굵은 덩이줄기가 옆으로 자라는데 덩어리 모양에다 황색에 다육질이며 매운맛과 향긋한 냄새를 풍긴다. 이 덩이줄기, 즉 뿌리를 식물의 이름과 함께 생강이라고 한다. 우리 식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채소이다. 덩이줄기의 각 마디에서 잎집으로 형성된 헛줄기가 곧게 선다. 건강(乾薑)은 생강을 물에 담갔다 말린 것, 흑강(黑薑)은 검게 될 때까지 구운 것, 건생강(乾生薑)은 캐서 볕에 말린 것을 말한다. 향신료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주로 양념으로 쓰이는데 생선ㆍ고기의 냄새를 없애준다. 또한 카레ㆍ소스 등의 원료와 과자ㆍ빵ㆍ피클 등의 향신료, 설탕절임ㆍ생강차ㆍ생강주 등의 주재료로 널리 애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날것으로 탕을 하여 사용하거나 술을 담가서 쓴다. 복용 중에 당귀ㆍ현삼ㆍ황금ㆍ황련ㆍ하눌타리ㆍ천화분(天花粉 : 하눌타리 뿌리의 가루)ㆍ박쥐 똥 등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ㆍ소화기 질환을 다스리며, 건위제로 효험이 있다.
백강(白薑) / 생강
라틴명 Zingiberis Rhizoma Alba
약재의 효능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선결(宣結)  (결체(結滯)된 것을 편다는 것임.)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발표(發表)  (표사(表邪)를 발산시키는 치료법의 일종임.)
통맥(通脈)  (혈맥을 통하게 하는 방법임)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거체(去滯)  (막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이폐(利肺)  (폐(肺)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해사독(解蛇毒)  (사독(蛇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통절맥(通絶脈)  (맥기가 끊어진 것을 원활히 소통시키는 효능임)
회원양(回元陽)  (으뜸이 되는 양기(陽氣) 즉, 신양(腎陽)을 다시 회복시켜 주는 효능임)
통심양(通心陽)  (심(心)의 양기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신(辛) , 온(溫)
독성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1, 2). Persons with gallstones should consult a practitioner prior to use 2).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3,4).
1) Yeung, H., Handbook of Chinese Herbs and Formulas, volume 1., Los Angeles; Institute of Chinese Medicine, 1985.
2)Blumenthal, M., ed; S. Klein, trans., Therapeutic monographs on medicinal plants for human use of the commission E Special expert committee, Fedral Health Agency, Germany, Austin;American Botanical Council, 1993.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미청주백원자(加味靑州白元子) /  구안와사(口眼喎斜)탄탄(癱瘓)중풍(中風)
감응원(感應元) /  적백리(赤白痢)적리(積痢)구리(久痢)
강출탕(薑朮湯) /  정충(怔忡)
목향반하환(木香半夏丸) /  체이(滯頤)
반하좌경탕(半夏左經湯) /  각기(脚氣)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적리(積痢)
신비좌경탕(神秘左經湯) /  각기(脚氣)
여의단(如意丹) /  귀수(鬼祟)전광(癲狂)온역(瘟疫)노채(勞瘵)
염통산(拈痛散) /  통풍(痛風)
온해산(溫解散) /  누창(瘻瘡)감루(疳瘻)
용향원(茸香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정풍병자(定風餠子)[2]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열격(噎膈)반위(反胃)
천초산(川椒散) /  비구(鼻鼽)
충한산(衝寒散) /  고냉(痼冷)소아설사(小兒泄瀉)
화제추도산(和劑抽刀散) /  한적복통(寒積腹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