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각(蟬殼) / 매미

 익생양술에서 "매미"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선각(蟬殼) / 매미"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채취기간 6~7월
4.5~5cm 취급요령 물에 찐 후 말려 쓴다.
생지 나뭇등걸 성미 차며, 달고 짜다.
분류 곤충 독성여부 없다
번식 산란 1회사용량 1~3개
약효 전체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임산부는 조심하여 사용한다)
특징 및 사용
유지매미는 알이 부화되어 애벌레가 되는데, 땅속에서 5년 동안 나무뿌리의 즙을 먹고 자란다. 6년째가 되면 애벌레는 땅 표면 가까이 굴을 파고 밖으로 나올 준비를 한다. 땅 위로 나온 애벌레는 적당한 나무나 풀을 찾아 기어 올라가 허물을 벗는데 보통 오후 7시부터 9시 사이에 가장 많다. 가루나 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매미껍질을 선태라 하며, 차며 달고 짜다. 이비인후과 질환에 효험하다.
선각(蟬殼) / 매미 허물
라틴명 Cicadae Periostracum
약재의 효능 산상초풍열(散上焦風熱)
투진(透疹)  (진독(疹毒)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임)
이인후(利咽喉)  (인후(咽喉)를 편하게 하는 효능임)
퇴목예(退目翳)  (눈에 막이 낀 듯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개발주리(開發腠理)  (주리(腠理)를 원활하게 열어주는 효능임)
선폐정경(宣肺定驚)  (폐기(肺氣)를 잘 통하게 하여 놀란 것을 진정시키는 효능임)
설폐열(泄肺熱)  (폐열(肺熱)을 내리는 효능임)
보양(補陽)  (보법(補法)의 하나로, 양허증(陽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구풍산열(驅風散熱)  (인체에 침입한 풍사(風邪)를 쫓고 열을 내리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폐(肺)
성미 감(甘) , 양(凉)
독성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  두창경축(痘瘡驚搐)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은진(癮疹)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강국산(羌菊散) /  수명(羞明)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  편두통(偏頭痛)두풍(頭風)정두통(正頭痛)비색(鼻塞)
국화산(菊花散)[1] /  예막(翳膜)안목적종(眼目赤腫)참통(磣痛)
능소화산(凌宵花散)[2] /  나풍(癩風)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마광산(磨光散) /  예장(翳障)풍안(風眼)
방풍산(防風散)[2] /  열궐두통(熱厥頭痛)
사피음(四皮飮)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선각(蟬殼)[1] /  목혼(目昏)예장(翳障)
선각(蟬殼)[2] /  야제(夜啼)경간(驚癎)
선국산(蟬菊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선저산(蟬猪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선태산(蟬蛻散) /  주상(酒傷)
선퇴탕(蟬退湯) /  두창복통(痘瘡腹痛)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선화산(蟬花散)[1] /  예막(翳膜)안목적종(眼目赤腫)유루(流淚)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선화산(蟬花散)[3] /  야제(夜啼)
소풍산(消風散)[1] /  부인혈풍(婦人血風)두풍(頭風)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양매창(楊梅瘡)천포창(天疱瘡)
유황고(硫黃膏) /  면상잡병(面上雜病)
인삼선태산(人蔘蟬蛻散) /  두창요삽(痘瘡尿澁)
주천산(周天散) /  두창흑함(痘瘡黑陷)
지성보명단(至聖保命丹) /  만경풍(慢驚風)급경풍(急驚風)
지황산(地黃散)[2] /  백막차정(白膜遮睛)목적종통(目赤腫痛)적예(赤翳)
지황산(地黃散)[3] /  두창입안(痘瘡入眼)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출두우방(出痘又方)[2] /  두출불쾌(痘出不快)
치두출불쾌우방(治痘出不快又方)[2] /  두출불쾌(痘出不快)
쾌반산(快斑散) /  두출불쾌(痘出不快)
통명산(通明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팔미환정산(八味還睛散) /  산예(散翳)내장(內障)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풍감환(風疳丸) /  간허작목(肝虛雀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