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축(萹蓄) / 마디풀

 익생양술에서 "마디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편축(萹蓄) / 마디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개화기 전
30~4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들, 길가, 밭둑, 논둑 성미 평온하며, 쓰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온포기 6~9g
약효 온포기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옹매듭
어긋나고 길이 1.5~4cm, 나비 3~12mm의 긴 타원형 또는 선 모양의 타원형으로서 양 끝이 둔하고 잎자루는 짧으며 잎몸과 잎자루 사이에 관절이 있다. 잎집 모양인 턱잎은 막질이고 2개로 크게 갈라진 다음 다시 잘게 갈라지며 가는 맥과 더불어 가장자리에 굵은 털이 있다.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홍백색의 작은 꽃이 하나씩 또는 여러 개씩 모여 달려 피는데 꽃잎은 없다. 꽃받침은 녹색 바탕에 흰빛 또는 붉은빛이 돌고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6~8개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
7~8월에 세모진 수과가 달려 익는데 꽃덮이보다 짧으며 자디잔 점이 있고 윤기가 없다.
특징 및 사용
변축(篇蓄)ㆍ편죽(扁竹)ㆍ편축(萹蓄) ㆍ백절(百節)이라고도 한다. 마디풀이라는 이름은 줄기가 마디 이어지듯 연결되어 있어 붙여졌다. 전체에 털이 없고 녹색을 띠는데 말라도 빛깔이 변하지 않는다. 줄기는 곧게 서는 것도 있으나 흔히 옆으로 비스듬히 퍼진다.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뚜렷하고 다소 딱딱한 느낌이 든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삶아서 나물로 먹는다. 전체를 건조시킨 것을 편축이라 하여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편축(萹蓄) / 마디풀
라틴명 Polygoni Avicularis Herba
약재의 효능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통림(通淋)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고 결석(結石)을 제거하며, 소변 볼 때 깔깔하면서 아프거나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시원하게 나가지 않는 병증을 제거하는 방법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지양(止痒)  (양증(痒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청산습열(淸散濕熱)
작용부위 방광(膀胱)
성미 고(苦) , 미한(微寒)
약전기재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독성 Can cause contact dermatitis 1). Due to its abortifacient effect 2) excessive use should be avoided in pragnancy 3).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4,5).
1) Mitchell, J.C. and Rook, A., Botanical Dermatology, Greenglass, Vancouver, 787, 1979.
2) Farnsworth NR et al., J. Pharm.Sci., 64, 535, 1975.
3) De Smet PAGM et al.(eds.). Adverse Effects of Herb Drugs 2, Springer-Verlag, Berlin, 1993.
4)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5)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약재사용처방 복총탕(復聰湯) /  이롱(耳聾)이명(耳鳴)
저령탕(猪苓湯)[1] /  열결(熱結)소변불통(小便不通)
청장탕(淸腸湯) /  요혈(尿血)
청폐산(淸肺散)[1] /  소변불통(小便不通)
팔정산(八正散) /  융폐(癃閉)
편축(萹蓄)[1] /  회충(蛔蟲)
편축(萹蓄)[2] /  오림(五淋)
편축(萹蓄)[3]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편축(萹蓄)[4] /  습열발황(濕熱發黃)
편축(萹蓄)[5] /  회궐심통(蛔厥心痛)
필효산(必效散)[1] /  임(淋)
호박산(琥珀散)[2] /  사림(沙淋)석림(石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