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연중(온그루), 9~10월(열매) |
키 | 6~15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산지의 숲속, 산기슭의 반그늘 | 성미 | null |
분류 | 낙엽 활엽 소교목 또는 교목 | 독성여부 | 있다. |
번식 | 실생ㆍ꺾꽂이 | 1회사용량 | 2~4g |
약효 | 온그루ㆍ열매 | 사용범위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한다. |
잎
어긋나며 길이 7~20cm, 나비 8~20cm인 달걀 모양의 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위쪽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앞면은 녹색이고 맥 위에 털이 있으며 뒷면은 별 모양의 흰 털이 빽빽이 나 있어 흰빛이 돈다.
꽃
5~6월에 흰 통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20송이 정도 밑을 향해 달려 피는데 길이 10~20cm인 꽃차례가 아래로 늘어진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8~10mm이다. 꽃받침은 5~9개로 얕게 갈라지고 털이 빽빽이 나 있다. 꽃부리는 지름 2cm 정도의 깔때기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겉에 별 모양의 털이 나 있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술은 1개이다. 암술대와 수술대에는 털이 없다.
열매
9월에 길이 2cm 정도인 달걀꼴 또는 타원형의 핵과가 방울 모양으로 달려 익는데 열매껍질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특징 및 사용
쪽동백ㆍ개동백나무ㆍ물박달나무ㆍ산아주까리나무ㆍ정나무ㆍ넙죽이나무ㆍ옥령화(玉鈴花)라고도 한다. 머리 기름이 나온다 하여 산아주까리나무, 잎이 커서 넙죽이나무로 불리운다.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백색이다.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갈색의 솜털이 있으나 차차 윤기가 나는 다갈색으로 변하면서 없어진다. 유사종으로 쪽동백보다 잎이 약간 작고 잎의 위쪽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는 것을 좀쪽동백나무, 잎의 뒷면에 하얀 털이 많은 것을 흰좀쪽동백나무라 한다. 꽃과 열매가 비슷한 때죽나무는 잎이 작고 타원형이며 꽃은 2~5개씩 따로 달린다. 겨울눈은 잎자루 밑 부분으로 둘러싸인다. 관상용ㆍ공업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목재는 가구재ㆍ조각재로 쓰고 씨에서는 기름을 짜서 비누와 양초의 원료로 이용한다. 쪽동백나무의 기름은 머릿니를 완전히 없앨 수 있을 정도로 효과가 좋다. 열매는 옥령화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구충제ㆍ살충제로도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