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껑덩굴

 익생양술에서만 "뚜껑덩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제주도, 강원 이북 채취기간 10월
2m 정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물가, 도랑 성미 서늘하며, 쓰다.
분류 한해살이 덩굴풀 독성여부 있다.
번식 실생ㆍ접목 1회사용량 15~20g
약효 온포기ㆍ씨 사용범위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를 요한다.
어긋나고 덩굴손과는 마주나는데 길이 5~10cm인 삼각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다. 간혹 3~5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8~9월에 황색 또는 황록색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잎겨드랑이에 달려 피는데 암 수한그루이다. 수꽃은 꽃잎과 꽃받침이 모두 5개로 갈라지고, 암꽃은 수꽃이삭 밑에 1개씩 달리며, 길이 1cm 정도의 작은 꽃자루가 있다.
열매
9~10월에 길이 1.5cm 정도인 달걀꼴의 장과가 밑으로 늘어져 달린다. 밑 부분에 가시 같은 돌기가 있고 익으면 위쪽이 뚜껑 모양으로 벗겨져 검은 씨가 2개씩 나온다.
특징 및 사용
단풍잎뚜껑덩굴이라고도 한다.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엉켜 올라간다. 열매가 익으면 뚜껑처럼 열리고 그 속에서 씨가 나온다 하여 뚜껑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씨를 합자초인(合子草仁)이라 한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은 가축의 사료로도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각종 종기의 독증을 풀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