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현삼

 익생양술에서만 "토현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가을
1.5m 정도 취급요령 불에 검게 그을린 다음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 성미 서늘하며, 쓰고 짜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실생ㆍ분주 1회사용량 10~12g
약효 뿌리ㆍ꽃 사용범위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현삼ㆍ진현삼ㆍ큰개현삼의 뿌리
마주나며 잎자루가 짧다. 잎몸은 길이 10~15cm, 나비 4~7cm인 달걀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잔톱니가 있다.
7월에 검은 자주색 또는 남빛을 띤 자주색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취산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작은 꽃자루에 샘털이 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짧고 끝이 뭉뚝하거나 날카롭다. 꽃부리는 단지같이 생겼는데 끝 부분이 입술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다.
열매
9~10월에 달걀꼴의 삭과를 맺는데 익으면 2개로 갈라진다. 열매 속에 작은 씨가 많이 들어 있다.
특징 및 사용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단면이 네모지고 털이 없다.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유사종으로 포기 전체에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을 일월토현삼이라 한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