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민들레

 익생양술에서만 "산민들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봄~여름(개화기)
10~35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습한 곳 성미 차며, 달고 쓰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10~15g
약효 뿌리ㆍ온포기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민들레ㆍ흰민들레의 뿌리와 온포기
뿌리에서 곧바로 뭉쳐나와 사방으로 퍼지는데 거꾸로 선 댓잎피침형이며 길이 9~20cm, 나비 2~5cm이지만 간혹 길이 36cm, 나비 7cm에 이르는 것도 있다. 양면에 털이 나며 가장자리가 아래를 향하여 4~5쌍으로 갈라진다.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서 잎자루로 흐르기도 한다.
5~6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꽃줄기 끝에 한 개씩 달린다. 꽃줄기는 꽃이 핀 뒤에 더욱 길어진다. 꽃 밑에는 털이 빽빽하게 난다. 꽃차례받침은 길이 13~15mm에서 15~20mm로 길게 자란다. 바깥 꽃턱잎 조각은 곧고 길이 5~8mm로서 안쪽 꽃턱잎 조각보다 짧은데 끝 부분에 자줏빛이 돌며 털이 약간 있고 끝에 돌기가 없다. 가장자리의 꽃부리는 황색이며 길이 13~19mm, 나비 1.8~2mm이고 통 부분은 길이 3.5~5mm이다.
열매
6~7월에 갈색을 띤 긴 타원형의 수과가 달려 익는데 길이 3~3.5mm, 지름 약 1mm이다. 겉에는 줄이 많고 위쪽에 뾰족한 돌기가 있다. 갓털은 길이 7~8mm이며 잿빛을 띤 갈색이다.
특징 및 사용
포기 전체에 백색의 유즙이 있다. 뿌리는 깊이 뻗고 원줄기는 없으며 꽃대는 여러 개 나오지 않는다. 꽃의 모양은 민들레와 같으나 전체적으로 작고 연약하게 생겼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