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초(粉草) / 감초

익생양술에서
"감초"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분초(粉草) / 감초"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 분포 |
남부 지방 |
채취기간 |
가을 |
| 키 |
100c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 생지 |
밭에 재배 |
성미 |
평온하며, 달다. |
| 분류 |
여러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뿌리 3~6g |
| 약효 |
뿌리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어긋나고 홀수 깃꼴겹잎으로 작은 잎이 7~17개씩 달리는데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의 크기는 길이 2~5cm, 나비 1~3cm이며 흰 털과 샘점이 있다.
꽃
7~8월에 남자색 꽃이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잎겨드랑이에 달려 핀다. 꽃의 크기는 1.4~2.5cm 정도이다.
열매
8~9월에 협과가 달려 익는데 꼬투리는 편평한 선 모양이고 활처럼 굽으며 바늘 같은 갈색 털이 촘촘히 나 있다. 신장 모양을 닮은 씨가 6~8개씩 들어 있는데 검은색으로 윤기가 난다.
특징 및 사용
뿌리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거기에 연결된 원뿌리는 땅 속 깊숙이 뻗어 있다. 곧게 서 있는 땅위줄기는 모가 지며 흰색의 가느다란 짧은 털이 촘촘히 나 있어 회백색으로 보인다. 방향성이 있다. 뿌리를 국로(國老)라고 하며 그 맛이 달아 감초라고 부른다. 예전에 생선 장수들이 생태를 20마리(1코)씩 감초 줄기로 꿰어서 팔았는데 그렇게 하면 잡균이 붙지 않는다고 전해진다. 약용ㆍ감미료(간장 담그는 데)로 이용된다. 한방에서는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다른 약의 작용을 순하게 하므로 다른 약에 첨가하여 중화제(조화제)ㆍ해독제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ㆍ순환계ㆍ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리며, 약재의 중화제ㆍ해독제로 쓴다.
분초(粉草) / 감초
| 라틴명 |
Glycyrrhizae Radix |
| 약재의 효능 |
보비(補脾)
(비(脾)의 기능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비의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보충하는 치법임.)
|
|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
|
익정(益精)
(정기(精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양기(養氣)
(보기(補氣)와 같은 효능임)
|
|
거담지해(祛痰止咳)
(담(痰)을 없애고 기침을 멎게한다는 뜻의 용어임.)
|
|
완급정통(緩急定痛)
(급(急)한 기운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없애는 효능임)
|
|
장력(壯力)
(힘을 튼튼히 하는 효능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안혼(安魂)
(혼(魂)을 안정시키는 효능임)
|
|
사심화(瀉心火)
(심(心)의 화열(火熱)을 없애는 효능임)
|
|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장기육(長肌肉)
(기육(肌肉)을 기르는 효능임)
|
|
통구규(通九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양음혈(養陰血)
(진액(津液)과 혈분(血分)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
|
제사열(除邪熱)
(사열(邪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이백맥(利百脈)
(여러 경맥(經脈)을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산표한(散表寒)
(체표에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해백약독(解百藥毒)
(많은 약의 독을 해독하는 효능임.)
|
|
해기(解肌)
(기표(肌表)의 사기(邪氣)를 제거하는 것인데, 외감증의 초기에 발한(發汗)시키는 치법.)
|
|
협화제약(協和諸藥)
(모든 약재의 약효를 조화롭게 하여 상호 협조시켜 주는 효능임)
|
|
경신연년(輕身延年)
(몸을 가볍게 하고 수명을 늘리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폐(肺)
|
| 성미 |
감(甘)
, 평(平)
|
| 약재사용처방 |
황기육일탕(黃芪六一湯)[2] /
옹저번갈(癰疽煩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