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구척(黑狗脊) / 관중

익생양술에서
"관중"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흑구척(黑狗脊) / 관중"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
|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
| 키 |
60~140cm |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 생지 |
산지의 숲 속 그늘지고 습한 곳 |
성미 |
차며, 쓰다. |
| 분류 |
여러해살이풀(양치식물)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포자 |
1회사용량 |
뿌리줄기 3~5g |
| 약효 |
뿌리줄기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뿌리줄기에서 돌려나며 겹잎이다. 잎은 길이 1m 안팎, 나비 25cm에 달하는 대형이다. 잎자루는 길이 10~30cm로서 잎몸보다 훨씬 짧으며 갈색의 수많은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비늘조각은 10~25mm쯤이고 광택이 있는 황갈색 또는 흑갈색인데 밑 부분의 것은 크며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좁아지면서 작아진다. 잎몸은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으로서 짙은 초록색이며 뒷면은 다소 흰색을 띠는 초록색인데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깃조각은 대가 없으며 길이 10~15cm, 나비 1.5~2.5cm의 좁은 댓잎피침형으로서 거의 깃꼴로 전부 갈라지고 밑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또한 양면에 연한 갈색 털이 나며 곱슬털 같은 비늘조각이 있다. 다시 갈라진 작은 잎은 선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뭉뚝하거나 둥글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맥은 표면에서 들어가고 측맥은 2개로 갈라진다.
포자
5~6월에 포자가 형성되어 9월에 익는다. 포자주머니들은 위쪽 깃조각의 중앙맥 가까이에 2줄로 붙는다. 포자주머니들을 싸는 포막은 지름 1~1.5mm 가량의 둥근 심장형이며 검은 갈색을 띠는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다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순환계ㆍ피부과 질환을 다스리며, 구충제(驅虫劑)로도 쓰인다.
흑구척(黑狗脊) / 관중
| 라틴명 |
Dryopteridis Rhizoma |
| 약재의 효능 |
보신(補腎)
(신(腎)을 보하는 효능임)
|
|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견골(堅骨)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행혈(行血)
(치법의 하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어혈증(瘀血證)에 적용함.)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보절상(補折傷)
(부러진 상처를 치료하는 효능임)
|
|
식육(蝕肉)
(썩은 살을 긁어내는 효능임)
|
|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견신(堅腎)
(신(腎)을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
|
보익(補益)
(인체의 기혈음양(氣血陰陽)이 부족한 것을 보양하여 각종 허증(虛症)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위(胃)
|
| 성미 |
고(苦)
, 양(凉)
|
| 독성 |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부약(敷藥) /
대풍창(大風瘡)
|
|
일상산(一上散) /
개선(疥癬)
|
|
초분산(椒粉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치대풍창부약(治大風瘡敷藥) /
대풍창(大風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