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두(鷄頭) / 닭
    
 

 익생양술에서 
"닭"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계두(鷄頭) / 닭"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 분포 | 
전국 | 
채취기간 | 
연중 | 
| 키 | 
30~45cm | 
취급요령 | 
모래주머니의 내막을 벗겨 내고 씻어 햇볕에 말려 쓴다. | 
| 생지 | 
가축 | 
성미 | 
평온하며, 달다. | 
| 분류 | 
날짐승류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산란 | 
1회사용량 | 
2~6g |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해롭지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여러 품종의 닭이 이용되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의 길이는 5cm 정도 된다. 두께는 3mm 정도이고 표면은 황록색 또는 황갈색의 주름이 있고 윤기가 난다. 닭살은 계육(鷄肉), 계란 껍질의 내막을 봉황의(鳳凰衣)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분말로 만들어 복용한다.
 
 
 
     
 
 
 
 
 
 
 
 
 
 
 
 
 
 
계두(鷄頭) / 닭 머리
 
| 라틴명 | 
Galli Caput |  
| 약재의 효능 | 
양간(養肝)
 (간(肝)의 음액(陰液)을 보태어주는 효능임)
 |  
 |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  
 | 
선양(宣陽)
 (인체에 양기(陽氣)가 잘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효능임)
 |  
 | 
조음(助陰)
 (음기(陰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  
 | 
활혈(活血)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는 효능임)
 |  
 | 
통락(通絡)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하사태(下死胎)
 (자궁 안에서 죽은 태아를 밖으로 나오게 하는 것임.)
 |  
 | 
안태아(安胎兒)
 (태아(胎兒)를 안정시키는 효능임.)
 |  
 | 
살귀(殺鬼)
 |  
 | 
벽온(辟瘟)
 (역기(疫氣)로 인해 상한(傷寒)이나 온병(溫病)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을 말함.)
 |  
| 작용부위 | 
간(肝)
, 신(腎)
 | 
| 성미 | 
감(甘)
, 온(溫)
 | 
| 주의사항 | 
단웅계(丹雄鷄)가 가장 좋음. |  
| 약재사용처방 | 
계두환(鷄頭丸) / 
어지(語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