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자계(黃雌鷄) / 닭
    
 

 익생양술에서 
"닭"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황자계(黃雌鷄) / 닭"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 분포 | 
전국 | 
채취기간 | 
연중 | 
| 키 | 
30~45cm | 
취급요령 | 
모래주머니의 내막을 벗겨 내고 씻어 햇볕에 말려 쓴다. | 
| 생지 | 
가축 | 
성미 | 
평온하며, 달다. | 
| 분류 | 
날짐승류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산란 | 
1회사용량 | 
2~6g | 
| 약효 | 
전체 | 
사용범위 | 
해롭지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특징 및 사용
여러 품종의 닭이 이용되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의 길이는 5cm 정도 된다. 두께는 3mm 정도이고 표면은 황록색 또는 황갈색의 주름이 있고 윤기가 난다. 닭살은 계육(鷄肉), 계란 껍질의 내막을 봉황의(鳳凰衣)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분말로 만들어 복용한다.
 
 
 
     
 
 
 
 
 
 
 
 
 
 
 
 
 
 
황자계(黃雌鷄) / 닭
 
| 라틴명 | 
Galli Caro |  
| 약재의 효능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익기(益氣)
 |  
 | 
보정(補精)
 (정혈(精血)을 보하는 것을 말함. 정기(精氣), 정력(精力), 정신(精神), 진액(津液)은 다 정혈(精血)과 관련이 있으므로 보정(補精)은 정기, 정력, 정신, 진액을 보한다는 뜻으로 쓰일 때도 있다.)
 |  
 | 
첨수(添髓)
 (골수(骨髓)를 더해준다는 뜻임.)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조비(助脾)
 (비(脾)를 도와주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 성미 | 
신(辛)
, 온(溫)
 | 
| 주의사항 | 
골열(骨熱) 환자는 복용하면 안됨. |  
| 약재사용처방 | 
황자계(黃雌鷄)[3] / 
구리(久痢)
, 적백리(赤白痢)
 | 
 | 
황자계(黃雌鷄)[4] / 
이수(羸瘦)
 | 
 | 
황자계(黃雌鷄)[5] / 
비위허약(脾胃虛弱)
 | 
 | 
황자계(黃雌鷄)[6] / 
노열(勞熱)
 | 
 | 
황자계(黃雌鷄)[7] / 
소갈(消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