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초(蚵蚾草) / 담배풀

익생양술에서
"담배풀"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가파초(蚵蚾草) / 담배풀"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학명
Carpesium abrotanoides
이명
천만정(天蔓菁)
천문정(天門精)
토우등(土牛滕)
| 분포 |
중남부 지방 |
채취기간 |
개화기(온포기), 9~10월(열매) |
| 키 |
50~100cm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 생지 |
산기슭, 들, 밭둑 |
성미 |
차며, 맵다. |
| 분류 |
두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6~9g |
| 약효 |
뿌리ㆍ온포기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어긋나며 담배잎과 비슷한 타원형이거나 긴 타원형이다. 밑 부분의 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두빛이며 특히 맥 위에 털이 있다. 위로 올라갈수록 잎은 작고 좁아지면서 긴 타원형이 되고 잎자루는 없어지며 가장자리도 밋밋해진다.
꽃
8~9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한 송이씩 밑을 향한 꽃들이 이삭 모양으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보통 꽃턱잎은 없고 암꽃은 많은데 잔꽃이 130~300개이다.
열매
9~10월에 길이 3.5mm쯤 되는 원기둥 모양의 수과가 달려 흑갈색으로 익는데 끝이 부리 같고 샘점과 함께 많은 줄이 있다.
특징 및 사용
뿌리는 방추형이며 목질이고 뿌리잎은 꽃이 필 때쯤 없어진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담배 냄새가 난다. 유사종인 여우오줌과 더불어 열매를 학슬(鶴蝨)이라 하며 잎을 천명정(天名精)이라 한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생즙을 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달인 물로 씻는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및 순환계 질병과 혈증을 다스린다.
가파초(蚵蚾草) / 담배풀
| 라틴명 |
Carpesii Herba |
| 약재의 효능 |
토담(吐痰)
(담(痰)을 토하는 증상임)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파혈(破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袪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임)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축수(逐水)
(몸속의 수기를 빼내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살소충(殺小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파숙생신(破宿生新)
(오래도록 정체되어 있는 것을 깨뜨려 제거하고 새로운 기운이 생겨나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내로(耐老)
(늙는 것을 방지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폐(肺)
|
| 성미 |
소독(小毒)
, 신(辛)
, 한(寒)
|
| 독성 |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하수오산(何首烏散) /
개선(疥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