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복(蘿蔔) / 무
    
 

 익생양술에서 
"무"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나복(蘿蔔) / 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5~6월(씨), 연중(뿌리) | 
| 키 | 20~100cm | 취급요령 | 날것으로 쓴다. | 
| 생지 | 밭에 재배 | 성미 | 평온하며, 맵고 달다. | 
| 분류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뿌리(무)ㆍ생즙 50~100g, 씨 4~6g | 
| 약효 | 뿌리ㆍ씨 | 사용범위 | 많이 먹을수록 몸에 이롭다. | 
 
잎
대개 깃털 모양의 잎이 뿌리에서 더부룩이 무리 지어 솟아 뭉쳐나며 1회 깃꼴겹잎인데 잎자루가 있고 보통 거친 털이 나 있으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잎몸은 주걱 모양에서부터 1~12쌍의 작은 조각으로 깊게 갈라진 것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꽃
4~5월에 엷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사판화가 십자형으로 배열되어 피는데 꽃줄기 끝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줄기는 길이 1m 정도까지 자란 다음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 꽃차례가 발달하고 작은 꽃대가 있다. 꽃잎은 거꾸로 된 넓은 달걀 모양의 쐐기꼴이며 꽃받침보다 2배 정도 길다. 꽃받침 조각은 선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암술은 1개이고 수술은 6개 중 2개가 짧다.
 
 
열매
5월에 길이 5cm 정도의 길쭉한 폐과(閉果)가 달리는데 꼬투리에 잘록하게 들어간 곳이 있으며 꼬투리마다 볼록해진 부분에 1개씩 2~4개의 적갈색 씨가 들어 있다. 꼬투리는 익어도 갈라지지 않는다.
 
 
특징 및 사용
나복(蘿蔔)ㆍ내복(萊菔)ㆍ노복(蘆菔)ㆍ청근(菁根)이라고도 한다. 배추ㆍ고추와 함께 우리나라 3대 채소 중의 하나이다. 줄기의 밑 부분과 이것에 이어진 원뿌리가 비대해진 것이 무이다. 희고 살이 많아 잎과 함께 많이 쓰이는 중요한 채소이다. 우리가 김치나 깍두기용 무로 흔히 쓰는 재래종은 길이 20cm, 지름이 7~8cm이며 무게는 800~900g이다.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무에는 비타민C가 많이 들어 있어 겨울철에 비타민 공급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무즙에는 디아스타제라는 효소가 있어 소화를 촉진시킨다. 약으로 쓸 때는 씨는 탕으로 하고 무(뿌리)는 생식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ㆍ지황(생지황ㆍ건지황ㆍ숙지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 생활에 유익하다.
 
 
     
 
 
 
 
 
 
 
 
 
 
 
 
 
 
 나복(蘿蔔) / 무
나복(蘿蔔) / 무
 
| 라틴명 | Raphani Radix | 
| 약재의 효능 |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 
|  | 화담열(化痰熱)
 (담(痰)으로 인한 열(熱)을 삭히는 효능임) |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 행풍(行風) | 
|  | 거열(去熱)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방법임.) |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 
|  | 보허(補虛)
 (허한 것을 보하는 효능임) | 
|  | 이안색(理顔色)
 (얼굴빛을 좋게 하는 효능임) | 
|  | 통관절(通關節)
 (관절의 기운을 소통시켜 관절운동을 원활히 하는 효능임) | 
|  | 관흉격(寬胸膈)
 (흉격(胸膈)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 제면독(制面毒)
 (밀가루 음식으로 탈이 난 것을 치료하는 효능임.) | 
|  | 복요사(伏硇砂)
 (요사(硇砂)의 독을 제거하는 효능임) | 
|  | 살어성기(殺魚腥氣)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는 효능임) | 
|  | 소식화담(消食化痰) | 
| 작용부위 | 위(胃)
, 폐(肺) | 
| 성미 | 신감(辛甘)
, 양(凉) | 
| 주의사항 | 복약 중에 하수오(何首烏), 지황(地黃)을 먹지 말 것. | 
| 약재사용처방 | 금화선방(噙化仙方) / 
해역상기(咳逆上氣)
, 폐위(肺痿) | 
|  | 나복(蘿蔔)[2] / 
편두통(偏頭痛) | 
|  | 나복(蘿蔔)[3] / 
주치(酒痔) | 
|  | 나복근(蘿蔔根) / 
장창(杖瘡) | 
|  | 나복즙(蘿蔔汁)[1] / 
토혈(吐血)
, 혈담(血痰)
, 육혈(衄血)
, 해혈(咳血) | 
|  | 나복즙(蘿蔔汁)[2] / 
후비(喉痺)
, 수곡불하(水穀不下) | 
|  | 백나복(白蘿蔔) / 
구리(久痢) | 
|  | 사즙고(四汁膏) / 
열수(熱嗽) | 
|  | 전진환(全眞丸)[1]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삼초옹체(三焦壅滯) | 
|  | 팔선고(八仙膏) / 
열식(噎食) | 
|  | 해두부독일방(解豆腐毒一方) / 
두부독(豆腐毒) | 
|  | 해면독일방(解麵毒一方) / 
면독(麵毒) | 
|  | 해연훈방(解烟熏方) / 
연기중독(煙氣中毒) | 
|  | 현상고(玄霜膏) / 
토혈(吐血)
, 객혈(喀血) | 
|  |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1] / 
타혈(唾血)
, 해혈(咳血)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 현상설리고(玄霜雪梨膏)[2] / 
객혈(喀血)
, 노수(勞嗽)
, 타혈(唾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