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출(蒼朮) / 삽주

 익생양술에서 "삽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창출(蒼朮) / 삽주"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1월
30~10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의 건조한 곳 성미 따뜻하며, 쓰고 맵다.
분류 여러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분근ㆍ씨 1회사용량 뿌리줄기 4~5g
약효 뿌리줄기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북창출ㆍ전엽삽주ㆍ참삽주ㆍ 용원삽주
뿌리잎과 줄기 밑 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쯤 떨어진다. 밑 부분에 달린 잎은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잎자루가 길이 3~8cm로 길다. 위쪽에 달린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 길이 8~11cm의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꼴로서 잎자루가 거의 없다. 잎의 질은 단단하고 윤기가 있으며 뒤쪽에 잔털이 나 있어 흰빛이 돈다.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가시 같은 잔톱니가 있다.
7~10월에 연한 자줏빛을 띤 흰색의 두상화가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줄기 끝과 가지 끝에 1개씩 달려 핀다. 암수딴그루이다. 지름 15~20mm인 두상화에는 20~30개의 대롱꽃이 있으며 꽃부리의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턱잎은 2줄로 달리는데 꽃과 길이가 같고 2회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차례받침은 길이 17mm의 종 모양이며 꽃차례받침 조각은 7~8줄로 늘어서는데 바깥 조각은 타원형, 가운데 조각은 긴 타원형, 안쪽 조각은 선형이다.
열매
9~10월에 수과가 달려 갈색으로 익는데 위를 향하여 뭉친 은백색의 털과 더불어 길이 8~9mm의 갈색 갓털이 있다.
특징 및 사용
걸력가(乞力枷)ㆍ마계(馬薊)ㆍ산강(山薑)ㆍ산계(山薊)ㆍ산정(山精)ㆍ일창출이라고도 한다. 굵고 긴 뿌리줄기에 마디가 있고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위쪽에서 가지가 여러 개 갈라진다. 포기 전체에서 향기가 난다. 유사종으로 잎자루가 없는 것을 용원삽주라 한다. 오래된 뿌리줄기를 창출, 어린 뿌리줄기를 백출(白朮)이라 하며 약재로 쓴다. 관상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복숭아ㆍ자두ㆍ고등어ㆍ참새고기를 금한다. 또 열이 있을 때, 땀이 많이 날 때, 변비가 있을 때에는 복용을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고, 건위 또는 냉병에 효험이 있다.
창출(蒼朮) / 삽주
라틴명 Atractylodis Rhizoma
약재의 효능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익기(益氣)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발한(發汗)  (땀을 내게 하는 효능임)
소곡(消穀)  (소화를 돕는 효능임)
축담(逐痰)  (담을 제거하는 효능임)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벽예(辟穢)  (일체의 더러운 것들을 몰아내는 효능임)
제습(除濕)  (습기(濕氣)를 제거하는 효능임)
산울(散鬱)  (막힌 것을 푸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비(脾) , 소장(小腸) , 위(胃) , 폐(肺)
성미 고신(苦辛) , 온(溫)
약전기재 대한약전
주의사항 내열골증(內熱骨蒸), 해수토혈(咳嗽吐血), 변비(便秘), 대하(帶下) 및 간신유동기자(肝腎有動氣者)는 복용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가감발운산(加減撥雲散) /  안병(眼病)
가감배풍탕(加減排風湯) /  풍중장(風中臟)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숙식(宿食)식상(食傷)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2] /  황달(黃疸)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 /  습곽란(濕霍亂)
가감청비탕(加減淸脾湯) /  해학(痎瘧)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위심통(胃心痛)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癰疽)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5] /  양각위연(兩脚痿軟)
가미소위단(加味小胃丹) /  담괴(痰塊)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비괴(痞塊)
가미용호산(加味龍虎散) /  풍습요통(風濕腰痛)한습요통(寒濕腰痛)
가미월국환(加味越麴丸) /  울증(鬱證)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  족위(足痿)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  습리(濕痢)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허두통(氣虛頭痛)기궐두통(氣厥頭痛)
가미창백산(加味蒼柏散) /  습각기(濕脚氣)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독발반(溫毒發斑)온역(瘟疫)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  식상(食傷)
가제제습탕(加劑除濕湯) /  한습(寒濕)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갈출탕(葛朮湯) /  주달(酒疸)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부골저(附骨疽)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1] /  궐역두통(厥逆頭痛)치통(齒痛)뇌풍(腦風)
강활산(羌活散) /  치아탈락(齒牙脫落)풍랭치통(風冷齒痛)치근동요(齒根動搖)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풍중부(風中腑)풍중장(風中臟)
강활창출탕(羌活蒼朮湯) /  열학(熱瘧)한학(寒瘧)장학(瘴瘧)
강활충화탕(羌活冲和湯) /  사시상한(四時傷寒)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마목(麻木)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복통(腹痛)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결명원(決明元)[2]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고중환(固中丸) /  비설(脾泄)
고창탕(藁蒼湯) /  심위통(心胃痛)
곡령환(谷靈丸) /  부인수척(婦人瘦瘠)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  비위허약(脾胃虛弱)구토(嘔吐)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괴화산(槐花散)[1] /  변혈(便血)하혈(下血)
교가산(交加散)[1] /  감모(感冒)상한(傷寒)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  축혈(畜血)태양병(太陽病)
구미수련환(九味茱連丸) /  탄산(呑酸)
구미평위환(狗米平胃丸) /  반위(反胃)
구사탕(驅邪湯)[1] /  해학(痎瘧)
구학탕(驅瘧湯) /  구학(久瘧)해학(痎瘧)
국출원(麴朮元) /  서설(暑泄)
국출환(麴朮丸) /  숙식(宿食)유음(留飮)탄산(呑酸)
궁지산(芎芷散) /  풍롱(風聾)이명(耳鳴)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궁출산(芎朮散) /  담적복통(痰積腹痛)
금련반하탕(芩連半夏湯) /  오조(惡阻)
내탁강활탕(內托羌活湯) /  옹저(癰疽)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노강양위탕(露薑養胃湯) /  구학(久瘧)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단창출환(單蒼朮丸) /  습열(濕熱)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주달(酒疸)
당귀염통탕(當歸拈痛湯) /  각기(脚氣)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치루(痔瘻)항문양통(肛門痒痛)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1] /  붕루(崩漏)
대강활탕(大羌活湯)[1] /  역절풍(歷節風)
대강활탕(大羌活湯)[2] /  양감상한(兩感傷寒)
대금음자(對金飮子) /  주상(酒傷)식상(食傷)
대온중환(大溫中丸) /  황반(黃胖)곡달(穀疸)황종(黃腫)
대정기산(大正氣散) /  창만(脹滿)
도씨충화탕(陶氏冲和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  야수(夜嗽)
만병사령산(萬病四苓散) /  화설(火泄)
만병오령산(萬病五苓散) /  습설(濕泄)
만병이진탕(萬病二陳湯) /  담설(痰泄)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유루(流淚)간허예장(肝虛翳障)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1] /  담음비통(痰飮臂痛)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2] /  역절풍(歷節風)비통(臂痛)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백봉고(白鳳膏) /  허로(虛勞)폐위(肺痿)해혈(咳血)
백출부자탕(白朮附子湯)[2] /  한중(寒中)
벽사단(辟邪丹)[2] /  사수(邪祟)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내장(內障)
보수단(補髓丹)[2] /  허로이수(虛勞羸瘦)
보중치습탕(補中治濕湯) /  수종(水腫)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2] /  담음구토(痰飮嘔吐)
복령백출탕(茯苓白朮湯) /  습온(濕溫)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부종통치우방(浮腫通治又方) /  부종(浮腫)
분소탕(分消湯) /  중만(中滿)창만(脹滿)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1] /  상한음증(傷寒陰證)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2] /  숙식(宿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빈소산(檳蘇散) /  각기(脚氣)
사령오피탕(四令五皮湯) /  부종(浮腫)
사백안위음(瀉白安胃飮) /  백리(白痢)
사신환(四神丸)[1] /  백대(白帶)
사제창백환(四製蒼柏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사초고진단(四炒固眞丹) /  소변백탁(小便白濁)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창만(脹滿)적취(積聚)
산울탕(散鬱湯) /  식울(食鬱)
산정환(山精丸) /  습담(濕痰)
삼두해정탕(三豆解컲湯) /  주상(酒傷)
삼묘환(三妙丸) /  하지마목(下肢麻木)
삼선단(三仙丹) /  이롱(耳聾)양허(陽虛)
삼선탕(三仙湯) /  장역(瘴疫)
삼습탕(渗濕湯)[1] /  한습(寒濕)
삼습탕(渗濕湯)[2] /  한습(寒濕)
삼습탕(渗濕湯)[3] /  습증(濕證)
삼출건비환(蔘朮健脾丸) /  구설(久泄)
삼출탕(蔘朮湯) /  식후혼곤(食後昏困)비위허약(脾胃虛弱)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생부제습탕(生附除濕湯) /  한습(寒濕)
생부탕(生附湯)[2] /  한습(寒濕)상습(傷濕)
서련환(瑞蓮丸)[2] /  허로(虛勞)
석고강활산(石膏羌活散) /  난현풍(爛弦風)도첩권모(倒睫拳毛)내장(內障)외장(外障)
선화무비산(蟬花無比散) /  풍견편시(風牽偏視)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섭생음(攝生飮) /  졸중풍(卒中風)
성반합분환(星半蛤粉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성비육위탕(醒脾育胃湯) /  중초기부족(中焦氣不足)탄산(呑酸)허비(虛痞)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습온(濕溫)풍온(風溫)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소감환(消疳丸) /  오감(五疳)
소산환(消疝丸) /  퇴산(㿉疝)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소온중환(小溫中丸) /  곡달(穀疸)
소풍백해산(消風百解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소풍활혈탕(疎風活血湯) /  역절풍(歷節風)
수련환(茱連丸)[2] /  탄산(呑酸)토산(吐酸)
수중금원(守中金元) /  장명(腸鳴)비위허한(脾胃虛寒)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승금환(勝金丸) /  학질(瘧疾)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면종(面腫)위풍(胃風)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1] /  붕루(崩漏)
승양제습탕(升陽除濕湯)[2] /  허설(虛泄)
승양제습화혈탕(升陽除濕和血湯) /  장벽(腸澼)
승양조경탕(升陽調經湯) /  붕루(崩漏)
시평탕(柴平湯) /  해학(痎瘧)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시호조경탕(柴胡調經湯) /  붕루(崩漏)
시호지모탕(柴胡知母湯) /  열학(熱瘧)장학(瘴瘧)
신달탕(腎疸湯) /  신달(腎疸)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온역(瘟疫)상한양감(傷寒兩感)
신출산(神朮散)[1] /  상한표증(傷寒表證)
신출산(神朮散)[2] /  산람장기(山嵐瘴氣)
신출산(神朮散)[3] /  풍수(風嗽)
신출산기산(神朮散氣散) /  사시온역(四時瘟疫)
신출환(神朮丸) /  담음(痰飮)토산(吐酸)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실장산(實腸散)[1] /  대장허한(大腸虛寒)
실장산(實腸散)[2] /  활설(滑泄)
십미창백산(十味蒼柏散) /  산통(疝痛)
양위단(養胃丹) /  구학(久瘧)
양위진식탕(養胃進食湯) /  비위허약(脾胃虛弱)
양혈장근건보환(養血壯筋健步丸) /  양각위연(兩脚痿軟)
어한탕(禦寒湯) /  비색(鼻塞)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 /  비색(鼻塞)
연교산견탕(連翹散堅湯) /  마도창(馬刀瘡)나력(瘰癧)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오적산(五積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오출환(烏朮丸) /  허로(虛勞)
옥설탕(沃雪湯)[2] /  사시상한(四時傷寒)
온위탕(溫衛湯)[1] /  비색(鼻塞)
온해산(溫解散) /  누창(瘻瘡)감루(疳瘻)
용호단(龍虎丹) /  통풍(痛風)반신마목(半身麻木)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골저(骨疽)내저(內疽)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월국환(越麴丸) /  울증(鬱證)
월비탕(越婢湯)[2] /  해역상기(咳逆上氣)수종(水腫)
위령탕(胃苓湯)[1] /  습설(濕泄)
위령탕(胃苓湯)[2]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숙식(宿食)
유향정통환(乳香定痛丸) /  역절풍(歷節風)
유향흑호단(乳香黑虎丹) /  역절풍(歷節風)
육울탕(六鬱湯)[1] /  육울(六鬱)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윤신환(潤腎丸) /  비신구허(脾腎俱虛)
음분생양탕(陰分生陽湯) /  허로(虛勞)
음허생내열탕(陰虛生內熱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응통원(應痛元) /  견비통(肩臂痛)
이묘산(二妙散) /  통풍(痛風)
이묘환(二妙丸) /  습열위(濕熱痿)
이초창백산(二炒蒼柏散) /  각기(脚氣)
이향산(二香散)[1] /  서풍(暑風)
이향산(二香散)[2] /  옹저(癰疽)
인삼구폐산(人參救肺散) /  토혈(吐血)
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3] /  옹저번갈(癰疽煩渴)
인중황환(人中黃丸) /  사시온역(四時瘟疫)
인진산(茵蔯散) /  황달(黃疸)
일보일발단(一補一發丹) /  구학(久瘧)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전풍(紫癜風)자운풍(紫雲風)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전초산(剪草散) /  개선(疥癬)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제습강활탕(除濕羌活湯) /  풍습(風濕)
제습건비탕(除濕健脾湯) /  구설(久泄)
제습탕(除濕湯) /  중습(中濕)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조위산(調衛散) /  숙식(宿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조육평위산(棗肉平胃散) /  식상(食傷)
조자녹반환(棗子綠礬丸) /  황달(黃疸)황반(黃胖)
조중이기탕(調中理氣湯) /  허리(虛痢)
조중익기탕(調中益氣湯)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조중탕(調中湯)[1] /  음증발반(陰證發斑)
주귀음(酒歸飮) /  나두창(癩頭瘡)
죽력기출환(竹瀝枳朮丸) /  담음(痰飮)
죽통흡독방(竹筒吸毒方) /  악창(惡瘡)정창(釘瘡)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진교창출탕(秦艽蒼朮湯) /  장치(腸痔)
질려산(蒺藜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창귀환(蒼龜丸) /  학슬풍(鶴膝風)
창귤탕(蒼橘湯) /  주습(酒濕)
창련탕(蒼連湯) /  탄산(呑酸)
창련환(蒼連丸) /  탄산(呑酸)
창백저피환(蒼柏樗皮丸) /  백대(白帶)
창출(蒼朮)[1] /  담음(痰飮)
창출(蒼朮)[2] /  비습(脾濕)
창출(蒼朮)[4] /  습열설사(濕熱泄瀉)
창출(蒼朮)[5] /  내장(內障)
창출(蒼朮)[6] /  습병(濕病)
창출고(蒼朮膏)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창출난명단(蒼朮難名丹) /  임력(淋瀝)소변혼탁(小便混濁)
창출방풍탕(蒼朮防風湯) /  손설(飱泄)
창출백호탕(蒼朮白虎湯) /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1] /  통풍(痛風)
창출부전산(蒼朮復煎散)[2] /  한습(寒濕)
창출부전탕(蒼朮復煎湯) /  슬통(膝痛)척감(脊疳)
창출산(蒼朮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  어혈요통(瘀血腰痛)
청격창사환(淸膈蒼莎丸) /  기체흉비(氣滯胸痞)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청담환(淸痰丸) /  탄산(呑酸)조잡(嘈雜)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청서익기탕(淸暑益氣湯) /  중갈(中暍)
청신익기탕(淸神益氣湯) /  비위구허(脾胃俱虛)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청열해울탕(淸熱解鬱湯) /  위완통(胃脘痛)
청영괴화음(淸榮槐花飮) /  장독(臟毒)장풍(腸風)
청울산(淸鬱散) /  위심통(胃心痛)
청조탕(淸燥湯) /  탄탄(癱瘓)양각위연(兩脚痿軟)
청초창백탕(靑草蒼柏湯) /  부골저(附骨疽)
초과평위산(草果平胃散) /  비학(脾虐)
초목환(椒目丸) /  안화(眼花)
총백산(蔥白散) /  사시상한(四時傷寒)상한표증(傷寒表證)
추풍환(追風丸) /  백전풍(白癜風)
출령탕(朮苓湯)[2] /  탄산(呑酸)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충화산(沖和散) /  사시상한(四時傷寒)
충화순기탕(冲和順氣湯) /  면흑(面黑)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1] /  달벽(疸癖)
치달벽일방(治疸癖一方)[2] /  달벽(疸癖)
치습중화탕(治濕中和湯) /  한습(寒濕)
치오심열일방(治五心熱一方) /  오심번열(五心煩熱)
치황달애끽다엽일방(治黃疸愛喫茶葉一方) /  담벽(痰癖)
치황달희끽생미일방(治黃疸喜喫生米一方) /  희끽생미(喜喫生米)
칠미창백산(七味蒼柏散) /  습열요통(濕熱腰痛)
침사환(鍼砂丸) /  곡달(穀疸)주달(酒疸)
태무신출산(太無神朮散) /  사시온역(四時瘟疫)장역(瘴疫)
통규탕(通竅湯) /  비색(鼻塞)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퇴금환(褪金丸) /  황종(黃腫)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퇴황환(退黃丸) /  당설(溏泄)황달(黃疸)복창(腹脹)
평위산(平胃散)[1] /  심복창통(心腹脹痛)비위불화(脾胃不和)탄산(呑酸)
평위산(平胃散)[2]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불사식(不思食)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평즉환(平鯽丸) /  불능식(不能食)격기(膈氣)구토(嘔吐)
평진탕(平陳湯) /  식학(食瘧)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  적심통(積心痛)
행습유기산(行濕流氣散) /  풍한습비(風寒濕痺)
향갈탕(香葛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향부환(香附丸) /  식적수(食積嗽)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2] /  위한(胃寒)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1] /  비설(脾泄)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향소산(香蘇散)[1] /  시기온역(時氣瘟疫)사시상한(四時傷寒)
향소산(香蘇散)[2] /  사시온역(四時瘟疫)
화담청화탕(化痰淸火湯) /  조잡(嘈雜)
환골단(換骨丹) /  탄탄(癱瘓)중풍(中風)
환골환(換骨丸) /  나풍(癩風)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활신환(活腎丸) /  목신(木腎)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
황기인삼탕(黃芪人蔘湯) /  중갈(中暍)
황백산(黃白散)[2] /  숙식(宿食)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후박탕(厚朴湯)[3]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숙식(宿食)
후장환(厚腸丸) /  유식적체(乳食積滯)
흑지황환(黑地黃丸) /  치(痔)